정부 "AI로 탄소중립 가속화"…민관 협력 방안 논의

디플정위, 탄녹위·과기정통부와 컨퍼런스
UNIST·네이버클라우드 기조연설
AI를 활용한 탄소감축 노력 소개돼

정부와 민간이 인공지능(AI)으로 탄소중립을 가속화하는 방안에 대해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했다.

대통령 직속 디지털 플랫폼 정부위원회 고진 위원장.  사진=허영한 기자 younghan@

대통령 직속 디지털 플랫폼 정부위원회 고진 위원장. 사진=허영한 기자 younghan@

원본보기 아이콘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탄녹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함께 29일 'AI 기반 그린디지털 전환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이번 컨퍼런스는 지난해 11월 탄녹위에서 발표된 '디지털 전환을 통한 탄소중립 촉진방안'의 후속조치다. 지난 2월 범부처 디지털 탄소중립 총괄협의체에서 논의된 협력방안을 기반으로 추진됐다.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총장과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이노베이션센터장은 기조강연을 통해 AI가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해법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했다.


발표자들은 ▲AI·탄소중립 기술개발 실증에 대한 집중 투자 ▲AI 표준 마련 ▲AI서비스-스타트업-산업 간 생태계가 구축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장관/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이종호 과기정통부장관/ 사진=조용준 기자 jun21@

원본보기 아이콘

또한 SK텔레콤 , GS칼텍스, 삼성전자 관계자들은 통신, 정유, 제조 분야에서 AI를 활용한 탄소감축 노력을 소개했다. 화재 예측, 스마트교차로 등 공공부문 초거대 AI 도입 시 리스크 최소화를 위한 AI 도입 컨설팅 POC 추진사항 등도 논의됐다.


저전력·고효율·실용적 생성AI 서비스 전용 반도체 기술개발 및 내재화가 필요하며, 신뢰 가능한 AI 리스크 관리 플랫폼 등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고진 디플정위 위원장은 "공공부문 초거대 AI 도입을 통해 AI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며 "관련 부처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유럽의 환경규제 이슈에 대해서도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상협 탄녹위 위원장은 "구글의 경우 머신러닝에만 전체 사용에너지의 15%를 쓸 만큼 AI 활용에 투입되는 막대한 전기량은 또 다른 도전"이라면서도 "우리나라는 AI를 통해 탄소중립을 가속화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니고 있고, 또한 주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기술은 현재 인류가 직면한 가장 중대한 문제인 기후 위기를 해결하는 게임체인저 기술이 될 것"이라며 "컨퍼런스가 AI를 활용해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길을 열어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정부는 컨퍼런스에서 나온 의견을 기반으로 AI기반 그린디지털 전환을 위한 기술개발과 전 산업적 확산 방안, 규제 대응을 위해 범부처 논의를 지속하고, 후속 방안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