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주식시장에서
일진전기
일진전기
10359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54,300
전일대비
1,000
등락률
+1.88%
거래량
446,729
전일가
53,300
2025.11.26 15:30 기준
관련기사
‘조방원’이 끌고 ‘금반지’가 밀었다…정책 훈풍에 날개 단 한국 증시반도체 슈퍼사이클 기대감 확산… 장비株 동반 질주[클릭 e종목]"일진전기, 이익 레벨업…목표가↑"
close
,
대원전선
대원전선
0063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3,780
전일대비
150
등락률
+4.13%
거래량
5,308,549
전일가
3,630
2025.11.26 15:30 기준
관련기사
비만·대사질환 신약 트렌드…바이오株, 추가 상승 여력 충분연 4%대 최저금리로 투자금을 최대 4배까지? 대체거래소 이용자도 가능![특징주]엔비디아 호실적에 韓전선·전력설비 관련주↑
close
,
LS ELECTRIC
LS ELECTRIC
01012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448,500
전일대비
8,500
등락률
+1.93%
거래량
181,758
전일가
440,000
2025.11.26 15:30 기준
관련기사
[전력산업대전환]③전력기기 3사, 28조원어치 일감 쌓였다[클릭 e종목]"글로벌 전력 인프라 고도화…LS, 목표가↑"전력기기株, 3분기 호실적에 주가 '날개'
close
등의 전선·케이블 관련주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구릿값 상승과 글로벌 전력망 투자 확대에 따른 전선·케이블 수요 증가로 관련 기업의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가 반영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10시20분 현재 대원전선, 일진전기. LS ELECTRIC,
삼화전기
삼화전기
0094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9,550
전일대비
800
등락률
+2.78%
거래량
25,406
전일가
28,750
2025.11.26 15:30 기준
관련기사
[특징주]삼화전기 15% 급등…'AI 거품론' 해소에 '훨훨'국민연금 8월 장바구니 보니…건설 '사자' 화장품 '팔자''하락장 직격' 국민연금, 국내주식 평가액 19조 증발
close
등이 전날 종가 대비 8% 이상 올라 거래되고 있다.
LS
LS
0062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78,500
전일대비
1,100
등락률
+0.62%
거래량
163,876
전일가
177,400
2025.11.26 15:30 기준
관련기사
[전력산업대전환]③'수출 효자' 부상한 전력기기… 美 배전변압기 절반이 노후화[M&A알쓸신잡]‘쪼개기 상장’ 시도 멈출까…상법개정 후 변화는[클릭 e종목]"글로벌 전력 인프라 고도화…LS, 목표가↑"
close
,
가온전선
가온전선
00050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73,800
전일대비
4,100
등락률
+5.88%
거래량
73,516
전일가
69,700
2025.11.26 15:30 기준
관련기사
[특징주]'자회사 호실적' LS, 3%↑[클릭 e종목]"가온전선, 지앤피·LS전선 북미사업 법인 인수로 성장"코스피 1등 HD현대일렉트릭…키워드는 ‘美시장 강타’[2024 급등주 결산]
close
,
대한전선
대한전선
0014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2,200
전일대비
350
등락률
+1.60%
거래량
2,072,423
전일가
21,850
2025.11.26 15:30 기준
관련기사
연 4%대 금리로 반대매매 위기 당일 해결...저가매수 자금도 4배까지미수·신용 대환을 연 4%대 최저금리로...추가 투자금도 OK'오천피'도 현실로 다가오나? 역대급 불장에 높아지는 눈높이
close
, HD현대일렉트릭,
광명전기
광명전기
0170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313
전일대비
41
등락률
+3.22%
거래량
155,369
전일가
1,272
2025.11.26 15:30 기준
관련기사
[특징주]엔비디아 호실적에 韓전선·전력설비 관련주↑거래소, 광명전기에 불성실 공시법인 지정 예고[e공시 눈에 띄네]대우조선해양, 7103억원 규모 LNG 운반 2척 수주(오후 종합)
close
등도 3% 이상 상승 거래 중이다.
구리 가격이 가파른 상승 추세를 보이는 데다 글로벌 주요국이 전력망 투자 확대에 나서면서 전선·케이블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따른 영향으로 해석된다.
런던금속거래소에 따르면 구리 현물 가격은 지난 24일(현지시간) t(톤)당 9650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6개월 사이 20% 이상, 올해 들어서는 12% 넘게 오른 수치다.
김도현 삼성증권 연구원은 "구리 광산·제련 기업의 감산 움직임에 구리 수급이 악화하면서 구리 가격이 오르고 있다"면서 "선진국들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난립으로 전력 수요가 폭증할 것이라는 기대도 일고 있다"고 진단했다.
더불어 케이블 수요도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원자재 시장 조사업체 CRU에 따르면 전 세계 해저케이블 수요는 2022년 6조4000억원에서 5년 후인 2029년에는 29조5000억원으로 약 4~5배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임정수 기자 agreme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