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잡하고 다양한 사회적 위기를 극복하고, 더 좋은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광주광역시 광산구 일자리 혁신 실험의 구체적 윤곽이 나왔다. 핵심은 시민이 주도하는 사회적 대화다. 시민이 직접 좋은 일자리의 기준을 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모델을 설계해 실행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일자리의 성공 열쇠라는 것.
광주광역시 광산구는 17일 청사 윤상원 홀에서 ‘광산구 지속가능 일자리특구 조성’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박병규 광산구청장, 김태완 광산구의회 의장, 이번 연구용역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조사(FGI)에 참여한 시민, 지속가능 일자리특구 자문위원, 관계 기관, 광산구 노사민정 위원, 지속가능 일자리 관련 협업부서 등이 참석했다.
용역은 지난해 8월부터 8개월간 진행됐다. 수행기관을 맡은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책임연구원 채준호 교수)은 1800여명 설문조사, 노인일자리·교육·제조업 등 일자리 이해관계자 23명 초점집단면접을 진행해 광산구 산업환경과 노동환경을 분석하고, 지속가능한 일자리 필요성과 개혁모델을 도출했다.
이날 보고회에선 ▲왜 지속가능 일자리가 필요한가 ▲왜 기초지자체이고 광산구인가 ▲왜 광산형 사회적 대화인가 등을 중심으로 지속가능 일자리특구 조성을 위한 단기, 중장기 세부 계획안을 설명하고, 의견을 듣는 시간이 마련됐다.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은 최종 보고서에서 “우리 사회의 불평등, 기후위기, 디지털 전환 같은 복합적 위기와 위험을 해소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일자리’에서 그 해법을 찾아야 한다”며 “‘고용 없는 성장’ 등 일자리의 위기야말로 국가와 기업, 국민 모두에게 가장 치명적인 위기이고 위험”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따라서 현시대 복합적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양질의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가장 우선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면서 “광산구는 기존 광주형일자리보다 한발 더 나아간 새로운 지역 일자리 모델을 시도해야 한다”고 밝혔다. 특정 분야에 국한하지 않고 광산구의 모든 기업, 모든 업종으로 적용해 확산할 수 있는 특구 조성을 목표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용역에서 가장 중점을 둔 것이 광산형 사회적 대화 체계 설계였는데, 산학협력단은 시민이 중심이 되는 ‘광산형 사회적 대화’를 제안했다. “일자리의 문제는 사회지도층이나 전문가만의 문제가 아니며, 지금까지 소외된 작고 낮은 목소리까지 담아야 한다”는 것.
구체적으로 가칭 ‘광산시민 지속가능 일자리 대토론회 ‘시문시답(市問市答)’을 추진할 것을 제시했다. 제조업, 민간서비스업, 공공서비스업, 마을 등 4개 분야 일자리 관련 100인의 ’지속가능 일자리 발굴단’을 모집, 올해 7월부터 내년 6월까지 ‘시민이 묻고 시민이 답하는’ 방식의 사회적 대화를 진행해 ‘지속가능 일자리’는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도록 하자는 것이 골자다.
광산구는 최종 연구용역 보고서와 이날 보고회에서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지속가능 일자리특구 조성을 본격화하기 위한 추진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