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노사 간 임금협상이 28일 노조의 총파업 돌입 11시간여 만에 타결됐다. 부산과 대구 등 주요 시내버스 노사가 합의한 수준과 동일한 4.48% 인상이다. 명절수당 65만원은 새로 신설됐다. 이를 감안하면 5.6%의 인상폭으로, 서울시는 앞으로 연 600억원 수준의 재정을 추가로 부담하게 됐다.
서울시는 이날 오후 3시20분께 서울시버스노동조합과 사측인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이 임금협상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버스노조는 오전 4시부터 시작한 총파업을 전면 철회하고 즉각 정상 운행에 들어갔고 서울시도 비상수송대책 가동을 해제하고 연장 운행 예정이던 지하철, 전세버스 등 대체 교통수단을 현행 운행으로 변경했다.
앞서 노사는 전날 오후 2시30분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막판 조정 회의를 열어 11시간 넘는 마라톤 협상을 벌였으나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 이날 오전 2시께 협상 결렬이 선언됐고 노조는 오전 4시를 기해 총파업에 들어갔다. 서울버스노조가 파업한 것은 2012년 이후 12년 만이었다. 노조는 인천·경기지역으로 인력 유출이 심화하는 상황에서 이탈을 막기 위해 시급을 12.7% 인상해달라고 요구한 반면, 사측은 최근 5년간의 물가상승률·임금인상률과 비교하면 과도한 요구라는 입장을 유지했다.
하지만 서울시의 중재 속에서 물밑 협상을 지속한 끝에 이날 오후 3시20분께 임금 인상 4.48%, 명절수당 65만원으로 노사 간 합의했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브리핑을 통해 "올해 노사 간 합의를 이뤄낸 임금 인상안은 대구, 부산 등 다른 지역과 동일한 수준"이라며 "버스는 명절 같은 특수 시기에도 다니는 것을 고려해 명절수당도 신설됐다"고 부연했다.
다만 이번 합의로 버스 기사들의 임금이 오르면서 서울시의 재정 부담도 늘어나게 됐다. 임금 인상이 1% 이뤄질 때마다 약 110억~120억원의 추가 재정부담금이 발생하는 점을 감안하면 총 600억원에 달한다. 이는 현재 서울 시내버스가 지방자치단체가 버스업체의 적자 등을 보전해주는 대신 취약지역 노선을 유지하는 등 공공성을 유지하는 준공영제를 적용받고 있는 영향도 있다. 윤 실장은 "노사 간 협력을 강화해 경영 혁신, 부대사업 수익 창출 등으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이번 임금 인상 여파로 대중교통 요금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지만 윤 실장은 "버스는 지난해 기본요금을 300원을 인상한 바가 있으므로 바로 요금 인상으로 도출되긴 어렵다"고 말했다.
파업 종료로 퇴근길에는 출근길과 같은 혼잡은 없을 전망이다. 다만 오전 시간대 벌어진 파업으로 서울은 물론 서울로 출근하는 경기도민도 불편을 겪었다. 특히 고교 3월 모의고사 시험일과 겹쳐 학생들의 피해도 발생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