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천평으로 쪼그라든 최후의 빙하, 고분자소재로 덮어 살린다

베네수엘라 당국, 훔볼트 빙하 지키려 안간힘
특수 덮개로 태양 광선↓…"빙하 아냐" 평가도

남미 베네수엘라가 기후 변화로 인해 산악빙하가 완전히 사라지는 첫 국가가 될 위기에 놓였다. 이에 환경 당국은 '최후의 빙하' 사수를 위해 특수 소재 덮개를 고산지대에 실어 나르는 등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6일(현지시간) AFP통신은 "베네수엘라 당국은 최근 안데스 산악지역 메리다주(州)의 시에라 네바다 국립공원 내의 '훔볼트 빙하'(라 코로나)를 지키기 위해 특수 섬유 고분자 소재(지오텍 스타일)로 만든 덮개를 고산지대에 실어 날랐다"고 보도했다.


남미 베네수엘라의 안데스 정상에 위치한 '훔볼트 빙하'의 모습. [이미지출처=헤이손 구즈만 메리다주 주지사 인스타그램 캡처]

남미 베네수엘라의 안데스 정상에 위치한 '훔볼트 빙하'의 모습. [이미지출처=헤이손 구즈만 메리다주 주지사 인스타그램 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최근 베네수엘라 생태사회주의부와 헤이손 구즈만 메리다주 주지사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 따르면 35개의 조각으로 구성된 덮개는 강한 태양 광선에 빙하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작됐다. 당국은 조각당 80㎏에 달하는 덮개를 해발 4900m 높이 정상 부근까지 옮기는 데 공군 헬기 2대와 100여명의 인력을 투입했다고 밝혔다. 구즈만 주지사는 자신의 SNS에 덮개와 관련한 내용을 올리며 “빙하를 둘러싼 바위에 내리쬐는 태양 광선을 줄여 빙하가 녹는 것을 방지하는 데 목표가 있다”며 “베네수엘라의 마지막 빙하를 보호하기 위해 기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럽다”고 적었다.

베네수엘라는 산악빙하가 완전히 사라질 첫 국가가 되지 않기 위해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지난해 유엔 세계기상기구(WMO)는 “기후 변화로 안데스산맥 북부의 산악빙하가 빠르게 녹고 있다”며 “빙하가 완전히 녹아 영구적으로 사라지는 1호 국가는 베네수엘라가 될 것”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베네수엘라 로스 안데스대학(ULA) 연구팀에 따르면 지난 100여년간 베네수엘라에서 여의도 면적(8.4㎢)보다 큰 10㎢의 빙하가 소멸했는데, '훔볼트 빙하'는 과거 최대 4.5㎢에 달했던 면적이 현재 0.02㎢(0.4%)로 축소된 것으로 분석됐다. 평수로 따지면 여의도면적 절반이 넘던 면적이 6천평




[이미지출처=헤이손 구즈만 메리다주 주지사 인스타그램 캡처]

[이미지출처=헤이손 구즈만 메리다주 주지사 인스타그램 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다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 정도 규모의 면적은 빙하라고 부르기 어렵다는 평가도 나온다.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 고문인 훌리오 세사르 센테노 교수는 AFP에 “베네수엘라에는 이미 빙하가 없다고 봐야 한다”며 “이곳에 있는 건 얼음 조각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과학계에서는 빙하라고 부를 수 있는 얼음덩어리의 최소 면적 가이드라인을 대체로 0.1㎢로 잡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앞으로 2~5년 이내에 '훔볼트 빙하'가 완전히 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해당 덮개의 환경 파괴 가능성도 있다. 향후 덮개가 분해되면 미세 플라스틱이 주변 농작물이나 석호, 공기 중으로 이동해 사람이나 동식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다. 생태학자인 엔리케 라 마르카는 AFP에 “희귀종 이끼나 벌새 등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일부 생명체에 적절한 산소 공급을 방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비판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