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물가가 크게 오르며 축의금의 '적정 액수'에 대한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 오른 가운데, 직장 선배 결혼식 축의금으로 5만원을 냈다가 "내가 서운하게 해준 게 있냐"는 면박을 들었다는 직장인의 사연이 전해졌다. 19일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자신을 '어제 선배 결혼식 축의금 5만원 냈는데 제가 잘못한 것인가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사회초년생이라고 소개한 글쓴이 A씨는 최근 직장 선배 결혼식에 참석하며 축의금으로 5만원을 냈다. A씨는 "선배가 '5만원을 낸 것이 맞냐. 내가 네게 서운하게 해준 게 있냐'고 말했다"며, "바쁜데도 시간을 내서 가줬더니 이런 소리를 하는 게 맞느냐"고 하소연했다. A씨는 "결혼할 때 (그 선배를) 부를 생각도 없다"면서도 "재직 중인 회사가 작은 곳이라 참석하지 않기는 무리라고 생각돼 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물가가 크게 오르며 축의금의 '적정 액수'에 대한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가운데, 직장 선배 결혼식 축의금으로 5만원을 냈다가 "내가 서운하게 해준 게 있냐"는 면박을 들었다는 직장인의 사연이 전해졌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A씨 사연을 접한 누리꾼 사이에서는 '요즘 물가를 생각하면 10만원이 적정하다'는 의견과 '하객들이 밥값이 비싼 곳에서 결혼하라고 강요한 것도 아니지 않느냐'는 의견이 팽팽히 맞섰다. 한 누리꾼은 "요즘 식사비만 해도 5만원 이상인 경우가 많아서 축의금은 10만원이 기본"이라며, "5만원 내고 밥 먹고 가면 되레 마이너스다. 회사 동료에게 너무 박한 게 아니냐"고 적었다."“결혼식에 참석하면 10만원, 참석하지 않으면 5만원을 내는 것이 통념"이라는 주장도 나왔다.
반면 결혼 당사자가 직접 선택한 '비싼 밥값'을 하객에게 전가하는 것이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한 누리꾼은 "누가 비싼 곳에서 결혼하라고 등 떠민 것도 아니다. 결혼식 목적이 돈 수금이냐"고 지적했다. A씨 선배의 계산적인 태도를 비판하는 의견도 나왔다. 한 직장인은 댓글에서 "그렇게 따지자면, 주말 최저시급 기준으로 계산하면 오히려 신랑·신부가 하객에게 돈을 줘야 하는 꼴"이라며 "축하하는 마음과 와줘서 감사하다는 마음만 주고받으면 되지 않나"고 했다.
축의금 액수를 둘러싼 고민과 갈등은 A씨만 겪고 있는 것이 아니다. 최근 물가가 크게 오르며 축의금을 얼마를 내야 할지를 두고 골머리를 앓는 이들은 늘어가고 있다.
'참석 시'에 내겠다는 축의금은 '평균 8.63만원'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남성 9.35만원, 여성 7.9만원이었으며, 연령별로는 20대 8.83만원, 30대 8.42만원이었다. '불참 시'에 낼 금액은 평균 6.04만원’으로 나타났다. [사진=아시아경제 김다희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결혼정보회사 가연이 지난해 11월 말 '축의금 문화'에 대한 미혼남녀 500명(25~39, 각 250명)의 의견을 조사한 것을 보면, 먼저 축의금 액수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은 '당사자와의 친분 및 알고 지낸 시간'이 86.8%로 대다수였다. '향후 내 결혼식에 참석할 사람인지 여부(5.6%)', '결혼식 장소 및 식대(5.4%)', '실물 청첩장의 전달 여부(2%)', '기타(0.2%)' 순으로 응답했다.
'참석 시'에 내겠다는 축의금은 '평균 8.63만원'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남성 9.35만원, 여성 7.9만원이었으며, 연령별로는 20대 8.83만원, 30대 8.42만원이었다. '불참 시'에 낼 금액은 평균 6.04만원’으로 나타났다. 남성 6.46만원, 여성 5.61만원이었고, 20대 6.1만원, 30대 5.97만원이었다. 대체로 여성보다 남성이, 30대보다 20대가 생각한 금액이 더 높았다. 20대는 상대적으로 주변인의 결혼 소식이 적기 때문에, 신경을 쓰고자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가연 관계자는 "떠오르는 축의금 논쟁은 경제적 부담이나 인간관계에 대한 변화도 있으나, 과거에는 나이를 먹으면 결혼하는 게 자연스러웠지만, 요즘은 결혼을 필수라고 여기지 않아서 더 이슈가 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또 "축의금은 본래 주고받는 품앗이의 개념이 있었지만, 일부 MZ세대 사이에서 돌려받을 일이 없을 듯하면 안 주고 안 받는 게 낫겠다고 여기는 것"이라며 "본질적인 것은 시간을 내서 인생의 가장 중요한 일을 축하해주는 것에 있다"고 덧붙였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