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친화인증기업’ 근로자가 일반 기업에 비해 아이를 더 많이 낳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족친화인증을 통과한 기업의 여성 출산휴가자 비율이 미인증기업에 비해 1.4%포인트 높았다. 출산휴가를 낸 여성 직원 수를 통해 해당 해에 태어난 여성 직원 아이 수를 유추할 수 있다. 육아휴직을 상대적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복귀 후에도 안정적으로 업무할 수 있는 제도와 분위기를 갖추는 것이 K인구문제 해결의 단초라는 점이 입증된 셈이다.
아시아경제가 6일 여성가족부를 통해 입수한 ‘가족친화인증의 효과 분석’ 자료에 따르면 가족친화인증을 통과한 기업의 여성 출산휴가자 비율은 미인증기업에 비해 1.4%포인트까지 더 높았다. 이는 최근 여가부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을 통해 자체 진행 중인 연구로, 2020~2022년 3개년의 가족친화인증기업 446개와 미인증기업 1071개를 비교 분석한 결과다(여성관리자패널 사업체의 인사담당자 604명·근로자 5011명 조사).
김현숙 여가부 장관은 "가임기 여성 근로자를 기준으로 출산 휴가를 간 비율을 따져봤을 때 가족친화인증기업이 미인증기업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며 "기업별로 여성대표 여부·정규직 비율·사업장 규모 등 기업 출산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통제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결국 가족친화인증기업이 많아질수록 문화가 바뀌면서 남녀 모두에게 일·가정 양립이 체화돼 출산율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1.5%포인트까지 더 높게 나타났다는 점에 주목했다. 김 장관은 올해 중소기업 가족친화인증기업을 4만개까지 늘리는 것을 여가부의 핵심 과제로 삼았다. (관련기사 : "가족친화 中企 겨우 1%…진입장벽 낮춰 10%로 확대"[K인구전략])
가족친화인증기업에서는 육아휴직도 보다 수월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인증기업 근로자가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비율은 미인증기업보다 여성 2.8%포인트, 남성 1.0%포인트 각각 더 높았다. 근로자들의 인식 역시 ‘출산휴가, 육아휴직 등 가족친화제도 활용이 쉽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인증기업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인증기업은 육아휴직 실제 사용률, 근로자 인식뿐 아니라 복귀 후 고용유지율도 월등히 높았다. 이는 인재 채용과 근속을 위해 큰 비용을 들이는 각 기업 입장에서도 긍정적인 신호다. 본지가 여가부에 의뢰해 지난해 가족친화인증을 통과한 2183개사의 여성 육아휴직 후 복귀율(고용유지율)을 확인한 결과, 전체 평균이 82.7%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해 발표된 여가부 ‘2022년 경력단절 실태조사’에 나타난 전국 만 25~54세 여성 육아휴직 후 고용유지율인 54.3%보다 28.4%포인트 높은 수치다. 대기업의 육아휴직 후 복귀율은 81.0%, 중소기업은 79.1%, 공공기관은 91.7%였다.
김 장관은 "가족친화인증기업이 출산휴가나 육아휴직 사용이 더 자유롭지만, 미인증기업들에 비해 생산성이나 기업성과가 낮지 않다는 것은 연구 결과로도 뒷받침돼 있다"며 "올해 여가부는 가족친화인증기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일·가정 양립의 선순환을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