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청소년 향한 집단 괴롭힘, 이민자 어머니 극단선택에 영향"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집단괴롭힘에 노출된 경우, 어머니인 이주민 여성의 정신 건강에도 심각한 악영향을 끼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제공=픽사베이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제공=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25일 김진호 고려대 보건정책관리학부 교수 연구팀은 미국 세인트루이스 안은혜 워싱턴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와 함께 초등학교 4학년 자녀를 둔 이주민 여성 1466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규명됐다고 밝혔다. 다문화 청소년들이 겪는 괴롭힘 피해와 이민자 어머니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관성을 논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이 2011~2019년 이뤄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 청소년 패널 조사'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조사 대상 아동 중 29.5%는 집단 괴롭힘을 당한 경험이 있었고 조사 대상 이주민 여성 중 2.4%는 극단적 선택 충동을 느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연구결과 자녀가 집단 괴롭힘 피해를 겪은 여성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극단적 선택을 생각할 가능성이 1.2% 포인트(p) 높았다.


특히 자녀가 똑같이 집단 괴롭힘 피해를 겪더라도, 저학력·저소득 어머니가 고학력·고소득 어머니와 비해 극단적 선택에 대한 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과 가계 소득 등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경우, 극단적 선택 충동 비율이 높았다.

김 교수는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한국 사회의 배타적 태도는 다문화가정 구성원 모두에 대한 피해로 이어진다"며 "이민자 어머니들의 사회·경제적 역량 강화를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유의미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13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인 '사회과학과 의학'(Social Science & Medicine)에 게재됐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