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는 홍해 사태 확전 가능성이 고조되고, 한반도에서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강경 발언으로 인해 지정학적 리스크가 상승하면서 환율이 널뛰기하고 있다. 지난해 말 1200원대에 안착했던 원·달러 환율은 최근 들어 1300원대를 돌파했다. 이미 고물가·고금리가 내수를 위협하는 가운데 환율마저 요동친다면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정부는 경제정책 방향 및 설 민생안정 대책을 통해 물가안정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방침이지만, 기존의 고물가·고금리 기조가 아직 남아 있는 가운데 환율까지 높아진다면 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단은 수입 물가가 영향을 받게 된다. 환율은 수입 물가에 통상 1~3개월 시차 두고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달 중 환율이 급등하게 되면 빠르면 2월부터 4월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은행은 16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를 통해 지난해 11~12월 수입 물가 하락의 주요 이유로 유가와 함께 환율을 꼽았다. 수입물가지수는 지난해 7월부터 10월까지 넉 달 연속 오른 뒤 11월(-4.4%)부터 하락 전환했는데, 이는 환율이 하락세로 바뀐 시기와도 일치한다.
환율 상승은 환차익 증가로 수출 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수입 원자재 값 상승 및 환 리스크 확대로 이어진다. 원자재 가격 상승은 기업들이 뽑은 주요 리스크 중 가장 위협적 요인이기도 하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 수출 중소기업 전망 조사’ 결과, 수출 리스크(복수 응답)로 가장 많이 꼽은 것은 원자재 가격 상승(53.7%)이었고, 환율 변동(29.3%)을 꼽은 기업도 적지 않았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환율 상승 압력이 장기화할 경우 수입 물가 및 원자재 가격을 끌어올릴 수 있다"면서 "원·달러 환율 상승이 우리나라 국제수지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면 꼭 나쁜 것만은 아니지만, 환율 상승이 국제수지 개선에 바로 영향을 미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