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중소기업·소상공인의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한 ‘2024년도 중소기업육성자금’을 전년 대비 1000억 원 늘린 1조 7000억 원 규모로 지원한다.
서울시는 시설자금·긴급자영업자금 등 ‘고정금리·직접대출 자금’ 2000억 원과 희망동행자금·안심금리자금 2.0 등 ‘변동금리·금리보전자금’ 1조 5000억 원을 더한 총 1조 70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공급한다고 8일 밝혔다. 자금 신청은 이날부터 가능하다.
중소기업중앙회의 '24년 소상공인 경영실태 및 정책과제' 조사에 따르면 소상공인 92.5%가 올해 경영상황이 전년과 비슷하거나 악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가장 바라는 지원정책으로 금융지원을 통한 경영 위기 극복(72.9%)이 가장 많았다. 이에 서울시는 다수 소상공인의 바람을 반영하여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해 자금을 확대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지원되는 자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서울신용보증재단의 보증을 이용 중인 기업 등의 금융부담 절감을 위해 대환대출 자금인 ‘희망동행자금’을 총 3000억 원 규모로 지원한다. 업체당 최대 1억 원까지이며, 2.0% 금리 보전을 제공한다. 또한 중도상환수수료 및 서울신용보증재단 보증료를 면제한다.
또한 채무 상환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지난해 1650억 원 대비 350억 원 늘어난 20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한다. 이와함께 직접대출자금 금리를 전년 대비 0.3%포인트 인하해 저리의 정책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5000억원 규모 준고정금리자금인 ‘안심금리자금 2.0’ 적용금리를 전년 대비 0.2%포인트 내린 3.5%를 적용한다.
한편, 환경·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경영 강화 기조를 반영한 ‘친환경기업자금’을 50억 원 규모로 신규 편성해 환경 분야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에도 나선다.
신청은 서울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모바일앱 또는 신한은행 ‘신한 쏠 비즈(SOL Biz)’, 하나은행 ‘하나원큐 기업’, 국민은행 ‘KB스타기업뱅킹’, 우리은행 ‘우리WON뱅킹 기업’ 모바일앱에서 신청 할 수 있다.
비대면 신청이 어려운 소상공인은 서울신용보증재단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에서 방문일 예약 후 해당 날짜에 지점을 찾으면 된다.
송호재 서울시 노동·공정·상생정책관은 “올해 자금 공급은 대환대출 자금 신규편성, 취약계층 집중지원, 금리 인하 등 소상공인의 금융부담 완화에 초점을 뒀다”며 “소상공인들이 대출 상환 부담에서 벗어나 자생력을 제고 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