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가 새로운 부촌으로 떠올랐다. 전통적인 소위 ‘부자동네’로 손꼽히는 ‘강남 3구’에 이어 성동구가 처음 이름을 올린 것이다.
이달 17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간한 ‘2023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금융자산이 10억 원 이상인 부자’ 수는 45만 6000명이다. 이들은 서울과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에 70.6%가 집중되어 있다.
특히 서울 내에서는 성동구의 약진이 눈에 띈다. 성동구가 처음으로 부집중도 지수 1.0을 넘으며 부촌으로 꼽힌 것이다. 부집중도 지수란 지역구분별 부자들이 보유한 금융자산 비중을 부자 수 비중으로 나눈 값으로, 값이 1.0 이상이면 해당 지역의 부집중도가 높고 고자산가가 많은 것을 의미한다.
지역별 부집중도를 살펴보면 전국에서 서울시와 세종시의 부집중도 지수가 1.0을 초과하여 가장 높았다. 서울에서는 성수동을 포함한 성동구가 2023년 처음으로 이름을 올린 가운데, 강남과 서초, 종로, 용산의 부집중도가 높게 나왔다.
성동구가 처음부터 주목받고 발전된 곳은 아니었다. 과거에는 사람들이 낙후된 지역이라 생각했으나, 현재는 수도권 광역교통의 중심지로 자리잡고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 특히 낡은 공장이 빼곡하던 성수동은 특색있는 가게와 고급 주상복합이 잇따라 들어서는 동시에 문화예술공간이 넘쳐나는 명실상부한 서울의 핫플로 발돋움했다.
지난 21일 서울시가 발표한 ‘서울특별시 GRDP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서울시민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은 4968만 원으로 전년보다 346만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상 처음 4만달러를 넘어선 것이다. 지역내총생산(GRDP,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이란 일정 지역 내에서 생산한 모든 재화와 서비스를 시장가치로 평가한 것으로, 그 지역의 경제력을 뜻한다.
전년 대비 성장률은 성동구(10.9%)가 서울시 자치구 중 가장 높게 나타나 지역 내 경제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동구는 도매 및 소매업(29.0%), 운수 및 창고업(27.1%)의 성장률이 높았다. 성동구에 이어 영등포구(7.2%), 강서구(6.4%) 순으로 성장률이 높았다.
성동구는 지난 10년간 기업 하기 좋은 도시를 위해 취득세, 재산세 등 세금 감면은 물론 건축물 사용승인 절차를 단축하는 원스톱 행정서비스를 펼쳤다. 또 도시계획을 통한 용적률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소셜벤처 기업 지원 정책을 펼쳤다.
성동구의 비전은 ‘스마트포용도시’이다. 포용정책은 약자를 포용하고 사회 전체를 건강하게 만드는 정책이며 누구도 소외받지 않아야 도시가 지속가능해진다. 성수동으로 대표되는 젠트리피케이션 방지정책, 필수노동자와 경력보유여성 지원정책, 청년을 위한 창업지원, 어르신을 위한 ‘효사랑 건강주치의 사업’, 교통약자를 위한 버스정류장 ‘스마트쉼터’ 등이 모두 포용정책에 해당한다.
또 반지하 주택 전수조사에 이은 성동형 위험거처 주거환경개선사업도 추진하고 있으며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는 특화도서관을 개관하고 주간보호센터를 열었다. 최근 성동구는 전국 최초로 장애인, 노인 등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로 설치를 지원하는 조례도 제정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결국 도시는 ‘경제’이고 경제의 핵심은 ‘기업’이며 지자체는 기업 하기 좋은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라며 “튼튼한 경제활동을 토대로 사회와 개인의 부가 축적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러한 성장 속에서 자칫 소외될 수 있는 우리 사회의 어려운 이웃을 챙기는 것 또한 지자체장의 역할이며, 나아가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구현하여 일터, 삶터, 쉼터가 골고루 발전한 빈틈없는 포용도시를 완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