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저기서 콜록, 독감 확산 계속…유행 기준의 7배"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확산 속도가 지난해보다 더 가팔라 감염 예방에 더 신경 써야 한다.

"여기저기서 콜록, 독감 확산 계속…유행 기준의 7배" 원본보기 아이콘

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47주차(11월19~25일) 외래환자 1000명당 독감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수는 45.8명으로 나타났다. 직전 주인 11월12~18일과 비교할 때 22% 증가한 수치다.


이는 2023~2024년 절기 유행 유행 기준 6.5명의 약 7배에 달하는 규모다. 지난해 같은 기간(3.9명)과 비교해서는 약 3.3배 높다. 38도 이상 갑작스러운 발열, 기침, 인후통을 보이는 환자를 독감 의사환자로 분류한다.

독감은 소아와 청소년 중심으로 퍼지고 있다. 7~12세가 100.9명, 13~18세가 104.0명으로 각각 유행 기준의 15.5배, 16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 연령대의 경우 19~49세 53.2명, 1~6세 35.3명, 50~64세 24.4명, 0세 20.5명, 65세 이상 11.8명 등으로 집계됐다.


독감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발생하는 감염성 호흡기 질환이다. 심한 경우 입원이 필요하거나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만 65세 이상 어르신, 어린이, 임신부, 면역저하자 등은 합병증이 발생하거나 입원할 위험이 높다.


현재 생후 6개월~13세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 고령층 대상 독감 백신 무료 접종이 실시되고 있다. 질병청은 마스크 착용 등 호흡기감염병 예방수칙 준수와 독감 예방접종 동참을 당부했다.

올해는 소아를 중심으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환자도 늘어나고 있어 개인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 호흡기 감염병은 3~4년 주기로 유행하는데 올해가 그 확산 주기다. 여러 감염병에 중복 감염되면 중증으로 번질 가능성이 더 커진다.


호흡기 감염병에 걸렸다면 감염력이 소실될 때까지 등교, 등원, 출근 등을 하지 않고 집에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