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건설업체들의 재무건전성이 악화로 건설업 생산이 10% 감소하면 한국 GDP는 0.4% 감소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8일 정규철 KDI 선임연구위원은 ‘중국 건설업 위축의 영향과 중장기 무역구조 변화의 시사점’ 보고서에서 “중국 건설업의 단기적 불안이 한국의 GDP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이같이 진단했다. 특히 산업별로는 건설자재 생산이나 운송과 밀접한 영향이 있는 화학산업, 광업, 해운업, 비금속광물과 금속제품 제조업에서 중국 건설업 위축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건설업 생산 감소 시 한국의 대중 중간재 수출량이 감소하는 영향이다. 거시경제 파급효과까지 감안하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은, 중국 건설업 생산 10% 감소시 한국 GDP 0.4%포인트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진단이다. 다만 정 연구위원은 “중국 건설업 생산 감소가 한 해가 아닌 여러 해에 걸쳐서 진행되는 경우 그에 비례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하락폭도 축소될 수 있다”고 했다.
동시에 중국의 중간재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한국의 경쟁력도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있다. 정 위원 분석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품이 가공된 후 제3국으로 재수출되는 부분은 축소되고, 중국 내수에 의존하는 부분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중국시장 대체를 위해 국내 기업이 활발히 진출하고 있는 베트남 중간재 시장에서도 중국의 점유율이 상승하고 있다.
정 위원은 “수출 및 투자 시장 다변화를 통한 위험 분산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한다”며 “뚜렷한 단기대책을 찾기는 어려우나, 동남아시아와 인도 등 급성장하는 신흥시장과 중동 등 동유럽으로의 기업 진출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부의 네트워크(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을 적극 활용해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인구 1100만에 달하는 중국 허베이성 성도 스좌좡. 베이징에 맞닿아 접근성이 좋은 이 곳에 수년 전부터 짓다 만 아파트가 방치돼 흉물스럽게 남아있다. (사진 출처= 김현정 특파원)
원본보기 아이콘<ⓒ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