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밀착' 뒤늦은 후회…독일 중앙銀도 "中 의존도 줄여라"

분데스방크 보고서 발표
독일 기업 29%, 中서 필수재 수입
中 경제위기에 獨도 출렁
올 성장률 0.3% 그칠듯

중국과 돈독한 관계를 유지했던 독일이 중국 경제 위기로 코너에 몰렸다. 독일 내부에서는 중국 부동산 침체 등 내부 문제와 미·중 갈등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중국과의 디커플링(탈동조화)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다.


'中 밀착' 뒤늦은 후회…독일 중앙銀도 "中 의존도 줄여라" 원본보기 아이콘

독일 중앙은행인 분데스방크는 18일(현지시간) 내놓은 월간 보고서를 통해 "독일 기업의 29%가 필수 자재와 부품을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며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무역에 차질을 빚을 경우 기업 운영에 상당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독일은 배터리, 전자 부품과 같은 중간재부터 데이터 처리, 통신 장비, 가전제품, 핵심광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과 원자재를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분데스방크는 "지난 몇년간 이들 제품에 대한 강력하고 일방적인 의존으로 경제 위험에 노출됐다"면서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축소할 필요가 있다. 특히 대체하기 매우 어려운 기초 제품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중앙은행의 경고는 전날 아날레나 베어보크 독일 외무장관의 발언과 궤를 같이 한다. 베어보그 장관은 전날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유럽연합(EU)이 "중국과 너무 가깝게 묶여 있으면 스스로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고 밝혔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도 최근 독일 경기 침체는 "수출시장 특히 중국의 (경제) 약화 때문"이라며 "우리와 같은 수출 주도 국가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한 바 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그의 말처럼 중국 경제 부진은 독일 경제에 충격을 주고 있다. 중국 경제는 지난해 말 코로나19 봉쇄 해제에도 불구하고 소비 침체, 고용 위축, 부동산 시장 붕괴로 부진의 늪을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는 독일 경제에도 고스란히 여파를 미쳤고 독일의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4분기 -0.4%, 올해 1분기 -0.1%로 두 달 연속 역성장한 데 이어, 2분기에도 0%를 나타내 플러스 성장에 실패했다(전분기 대비 기준).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독일 경제 성장률이 0.3%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독일 기업들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분데스방크는 독일 기업의 공급망 다변화 노력은 아직 충분치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분데스방크에 따르면 미·중 갈등으로 중국산 수입품에 의존하는 기업 중 40%가 대중 의존도를 축소했고, 16%는 이를 검토 중이다. 하지만 나머지 40%는 여전히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


분데스방크는 "중국과의 갑작스러운 분리는 단기적으로 독일 공급망과 생산에 광범위한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면서도 "지정학적 긴장 및 위험 고조를 고려해 기업과 정치인들은 공급망 구조 진화 및 대중 직접투자 추가 확대를 재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독일은 2005부터 2021년까지 16년간 재임한 앙겔라 메르켈 전 총리가 친중, 중상주의적 실용 행보를 보이면서 중국 경제와 커플링(동조화)을 강화해 왔다. 분데스방크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서 주요 자재·부품을 수입하는 독일 기업들은 자국 제조업 전체 매출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독일 기업들도 그간 중국을 주요 수출 시장으로 보고 투자를 늘려 왔다. 중국은 2022년 기준 독일 기업 직접투자가 많은 3위 국가로, 전체 투자액의 6%를 차지한다. 1~2위는 미국, 룩셈부르크가 꼽힌다. 특히 독일 산업 주력 엔진인 자동차 제조 분야에서 독일의 대중 투자 비중은 29%에 달한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