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무슨 조치를 취할지 예측하지는 않겠지만, 우리는 중국과 관계 단절을 바라지는 않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중국을 억제할 의향이 없다고 재확인했다.
베트남을 국빈 방문한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하노이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을 통해 "나는 중국을 억제하는 것을 원치 않으며, 중국과 관계를 분명히 하고 싶을 뿐"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순방 역시 중국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면서 "인도·태평양에서 안정적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국빈 방문을 계기로 미국과 베트남은 양국 관계를 최상위 수준인 ‘포괄적 전략 동반자’로 격상했다. 이에 따라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을 야심을 견제하기 위한 행보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미국으로선 쿼드(Quad), 오커스(AUKUS), 한미일 동맹에 이어, 베트남을 거점으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함으로써 중국 견제에 방점을 찍은 셈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베트남과의)이 격상된 관계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큰 힘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미국은 한국 및 일본과 전략적 삼각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으며, 태평양 도서국을 비롯해 인태 지역 전반에서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경제 문제로 어려움에 처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중국이 경제적으로 성공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다만 "나는 시 주석이 규칙에 기반해 성공하는 것을 보고 싶다"라고도 언급해 중국이 국제질서 규범을 지키지 않고 있다는 점도 재차 꼬집었다. 그는 "시 주석과 조만간 볼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에 대해선 "중국은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그간 중국의 정책상 문제를 비롯해 국제적 성장과 연결된 문제"라면서도 "이로 인해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것이라고 보지는 않는다"고 답변했다. 아울러 "중국을 상처입히기를 원치 않지만, 그들은 경제적으로 실질적 문제에 직면한 상황"이라며 "우리는 중국과 관계 단절을 바라지는 않는다"고 재확인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앞서 인도에서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 시 주석 대신 중국을 대표해 참석한 리펑 총리와 회동 사실도 공개했다. 그는 "우리는 안정성에 대해 이야기했으며, 전혀 대립적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한 "시 주석과 직접 만나지 않았다고 위기는 아니다"라며 "비판이 아니라, 시 주석은 지금 실업률을 비롯해 주요 경제 문제로 여력이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회담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답변하지 않았다. 모로코 지진에 대해선 깊은 애도를 표했다. 북아프리카 모로코를 강타한 지진 희생자는 21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