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이 자국산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대중 서비스를 처음으로 승인했다. 이에 지난 3월 바이두가 ‘어니봇’을 공개했고, 알리바바는 ‘퉁이 첸원’, 센스타임은 ‘센스챗’을 내놓는 등 여러 빅테크(거대 정보기술기업)이 저마다 개발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가장 인기를 끈 어니봇은 당국의 엄격한 검열로 인해 일부 질문에 답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31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중국 기술기업 바이두는 자사가 개발한 생성형 AI인 어니봇의 출시를 당국으로부터 승인받았다”고 보도했다. 현지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자국산 AI 가운데 중국 최대 검색 엔진 바이두의 어니봇은 공개 첫 24시간 동안 240만회의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인기를 모았다.
중국 모바일 앱 분석 플랫폼 치마이의 분석 결과 어니봇은 공개 24시간 동안 중국 애플 스토어에서만 31만610회 다운로드됐고, 중국 주요 안드로이드 앱 스토어 8개 중 4개에서 다운로드 1위를 기록하며 총다운로드 수 240만회를 기록했다.
또한 바이두는 “출시 24시간 동안 어니봇에 3342만개의 질문이 쏟아졌다”고 소셜미디어 위챗 공식 계정을 통해 밝혔다.
그러나 어니봇은 일부 질문에 답하지 못하거나 공정한 답을 내놓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은 중국의 일부인가?’라는 질문을 받자 어니봇은 “대만은 중국의 신성한 영토의 일부”라고 답했지만, 곧바로 대화를 중단하고 화제를 바꿀 것을 제안했다.
또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창업자인 리옌훙(로빈 리), 마윈(잭 마), 마화텅(포니 마) 중 ‘자본가’가 누구인가를 묻자, 리옌홍은 제외하고 마윈과 마화텅만 지목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의 사회주의에서 자본가라는 말은 부정적 의미”라고 지적했다. 앞서 언급된 세 사람 모두 초기에 외국 자본을 유치하고 해외의 증시에 상장됐지만, 어니봇은 바이두의 창업자만 제외한 것이다.
SCMP는 “세 창업자에 대해 같은 질문을 다시 했더니, 이번에는 세 사람에 대해 ‘위키피디아’ 스타일의 긴 프로필을 내놓는 등 아예 대답을 회피했다”며”고 설명했다.
반면 같은 날 서비스를 시작한 다른 AI 챗봇 ‘챗GLM’은 동일한 질문에 “그들이 소유한 재산의 규모에 근거한 경제적 관점에서 세 사업가는 자본가”라는 객관적인 대답을 했다.
SCMP는 “어니봇이 왜 같은 질문에 다른 답을 내놓거나 대화를 중단하는가’에 대해 문의했으나, 바이두 측은 즉답을 피했다”고 전했다.
이어 “사용자들의 질문에 대한 이런 불규칙한 반응은 표현의 자유가 엄격히 제한되는 중국에서 공공 챗봇 서비스가 직면한 장벽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