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서비스가 확산될수록 전통적 금융기관의 영향력이 약화돼 통화정책의 파급효과도 떨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곽보름 한국은행 거시경제연구실 부연구위원은 21일 '핀테크의 확산과 통화정책 파급효과 분석 : 중국 사례 연구' 보고서에서 핀테크 서비스 이용 확대가 통화정책의 파급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밝혔다.
곽 부연구위원은 중국인민은행의 통화정책 충격에 따른 중국의 성(省)별 경제변수들의 반응이 핀테크 이용량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포착하기 위해 관련 모형을 설정한 후 지난 2011년부터 2018년까지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핀테크 이용량은 중국 내 제3자 지급부문 1위 업체인 '알리페이'를 통한 온라인 지급, 대출, 보험, 단기금융펀드, 투자 등의 금융서비스 이용량을 활용해 측정했다.
분석 결과 통화정책 충격에 대한 국내총생산(GDP), 소비자물가지수, 은행대출, 주택가격의 반응이 핀테크 사용량 증가로 인해 유의미하게 약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은행대출의 반응 저하가 즉각 나타나고, 오래 지속됐다.
거시변수의 반응이 약화하는 이유는 중앙은행의 정책이 불변인 상태에서 핀테크 사용 확대에 따라 신용제약이 완화되고, 통화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은행 부문의 비중이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곽 부연구위원은 "핀테크 서비스 확산이 통화정책 파급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관련 서비스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이것이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