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그룹 연초 대비 시가총액 변동 분석 포스코그룹 97.99% 증가…한화(63%)·HD현대(35%)·현대차(31%) 등 순서 /
국내 10대 그룹 중 이차전지를 앞세운 포스코가 올해 시가총액(시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 시공 등의 여파로 GS그룹의 시총은 가장 많이 쪼그라들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포스코그룹의 시총은 14일 기준 83조364억원으로, 연초 41조9388억원 대비 97.99% 불어난 것 집계됐다. 10대 그룹 중 가장 큰 폭 증가했다.
올 들어 이차전지주가 강세를 보인 덕이 컸다. 이차전지 소재 사업 기대감이 반영되며 포스코 계열사들의 주가가 큰 폭 올랐다.
포스코엠텍
포스코엠텍
00952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14,650
전일대비
300
등락률
+2.09%
거래량
215,490
전일가
14,350
2025.08.14 15:30 기준
관련기사
모처럼 찾아온 기회? 연 4%대 최저금리로 4배 투자금 활용 가능! "이자도 못 갚는다" 매출 1조 건설사도 10곳 대체거래소 거래종목 110개로 확대…신세계·LG생건 등 합류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은 올 들어 14일까지 주가가 329.31% 상승했고
포스코DX
포스코DX
02210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5,600
전일대비
1,050
등락률
+4.28%
거래량
552,347
전일가
24,550
2025.08.14 15:30 기준
관련기사
美증시 반등에 코스피 2500선 탈환…한미 관세 협상 주목 "이자도 못 갚는다" 매출 1조 건설사도 10곳 [특징주]포스코DX, 피지컬AI로 생산성 ↑…대변혁의 시작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318.85%,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
04705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49,200
전일대비
300
등락률
-0.61%
거래량
520,525
전일가
49,500
2025.08.14 15:30 기준
관련기사
[클릭 e종목]"포스코인터, 내년 이익 성장 가시화…목표주가↑" [특징주]중국, 철강 생산 감소에 철강株 강세…포스코인터 9%↑ "기업은행, LG 등 중간·분기 배당 가능성 높다"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219.84%,
포스코퓨처엠
포스코퓨처엠
0036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63,200
전일대비
4,300
등락률
+2.71%
거래량
664,511
전일가
158,900
2025.08.14 15:30 기준
관련기사
2차전지株, ESS 모멘텀에 ‘들썩’...기회를 더 크게 살리려면? 포스코퓨처엠, 中 CNGR과 ESS용 LFP 양극재 사업 추진 포스코퓨처엠, '전구체 국산화' 첫 결실…미국향 양극재 첫 출하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109.40%,
포스코스틸리온
포스코스틸리온
0584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39,400
전일대비
200
등락률
-0.51%
거래량
6,490
전일가
39,600
2025.08.14 15:30 기준
관련기사
포스코스틸리온, 1분기 영업익 119억… 전년비 4.8%↓ [특징주]中 후판 '38% 관세' 판정에 철강주 급등 포스코스틸리온, 지난해 영업익 519억… 전년비 69.5%↑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104.47%,
POSCO홀딩스
POSCO홀딩스
00549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307,500
전일대비
1,500
등락률
-0.49%
거래량
217,001
전일가
309,000
2025.08.14 15:30 기준
관련기사
韓 건설 노동자 사망률, OECD 10대국 평균의 2배 '최악' 주식자금 고민 해결! 연 4%대 금리, 당일 실행, 대체거래소도 OK! 포스코퓨처엠, '전구체 국산화' 첫 결실…미국향 양극재 첫 출하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64.34% 등 급등세를 나타냈다.
POSCO홀딩스는 지난 11일 열린 '이차전지 소재사업 밸류데이' 행사에서 오는 2030년까지 이차전지 소재 분야의 성장 목표를 총매출액 62조원으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해 제시한 것보다 51% 상향 조정한 수치다. 포스코그룹의 이차전지 부문은 리튬·니켈·리사이클링·양극재·음극재·차세대 등 6개로 이뤄져 있다. 포스코그룹은 배터리 원가의 43%를 차지하는 양극재와 7%를 차지하는 음극재 중심으로 업스트림 투자를 통해 완전한 밸류체인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이현욱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포스코그룹 이차전지 소재 사업의 키인 양극재의 경우 2030년 필요한 리튬은 상당수 내재화가 가능할 것"이라며 "경쟁사 대비 높은 수준의 리튬·전구체 내재화율은 포스코그룹 이차전지 소재 부문의 가장 강력한 무기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포스코 다음으로 시총이 많이 늘어난 곳은 한화그룹이다. 한화그룹의 시총은 올 들어 62.98% 증가했다. 한화그룹에 편입된
한화오션
한화오션
0426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06,600
전일대비
300
등락률
+0.28%
거래량
2,250,745
전일가
106,300
2025.08.14 15:30 기준
관련기사
상승 출발 코스피, 3200선 등락…코스닥도 보합권 ESS 모멘텀 등에 업은 2차전지 업종에 쏠린 눈...비중확대를 고려 중이라면 美는 테슬라·국장은 삼전…7월 '최애주' 꿰찼다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옛 대우조선해양)의 힘이 컸다. 한화오션 시총은 올 들어 415.61% 증가하며 10대 그룹 계열사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한영수 삼성증권 연구원은 한화오션에 대해 "코스피에서 가장 아웃퍼폼한 대형주 중 하나로, 한화그룹으로의 편입이 마무리되면서 관련 불확실성이 해소된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01245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883,000
전일대비
5,000
등락률
+0.57%
거래량
241,011
전일가
878,000
2025.08.14 15:30 기준
관련기사
길어지는 코스피 횡보장…"매크로 지표·정책 모멘텀 주시" 美는 테슬라·국장은 삼전…7월 '최애주' 꿰찼다 코스피, 외국인 '사자'에 3220선 강세 마감…코스닥 0.86%↑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도 같은 기간 주가가 84.51% 상승하며 그룹 시총 증가에 한몫했다.
이 밖에 HD현대의 시총이 35% 증가하며 세 번째로 큰 시총 증가율을 기록했다. 현대차(31%)·SK(28%)·삼성(22%)·LG(17%)가 뒤를 이었다.
코스피 대장주인
삼성전자
삼성전자
0059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71,600
전일대비
300
등락률
-0.42%
거래량
11,946,122
전일가
71,900
2025.08.14 15:30 기준
관련기사
상승 출발 코스피, 3200선 등락…코스닥도 보합권 ESS 모멘텀 등에 업은 2차전지 업종에 쏠린 눈...비중확대를 고려 중이라면 美는 테슬라·국장은 삼전…7월 '최애주' 꿰찼다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의 주가는 올 들어 32.25% 올랐다. 시총은 연초 331조3229억원에서 438조1820억원으로 100조원 이상 늘어났다. 이에 삼성그룹의 시총도 연초 518조824억원에서 634조2447억원으로 증가했다.
10대 그룹 중 7개 그룹의 시총은 증가했지만 롯데·신세계·GS 시총은 감소했다. 롯데 10.20%, 신세계 14.57%, GS 16.07% 각각 시총이 줄었다. 경기 불황으로 유통주들의 주가가 부진하면서 관련 그룹주의 시총도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GS의 경우 최근 검단신도시 아파트 부실 공사 여파로
GS건설
GS건설
0063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8,570
전일대비
30
등락률
+0.16%
거래량
404,772
전일가
18,540
2025.08.14 15:30 기준
관련기사
"돈 되는 곳 우선"…건설사 아파트 수주, 여전한 지역편중 5대 건설사 2분기 성적표 '극과 극'…하반기 '옥석 가리기' 심화될 듯 GS건설, 광명·시흥 3개 공공주택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의 주가가 급락하면서 10대 그룹 중 시총이 가장 많이 줄었다.
GS리테일
GS리테일
0070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6,640
전일대비
160
등락률
-0.95%
거래량
177,555
전일가
16,800
2025.08.14 15:30 기준
관련기사
'추성훈 하이볼' 등장…GS25, 쌀로 만든 '아키 스파클링 하이볼' 출시 '하늘도 무심한' 편의점, 상반기 역성장…소비쿠폰 반등 노린다 GS리테일, 2분기 영업익 전년比 2%↑…편의점·슈퍼 고전 속 '선방'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주가는 올 들어 20% 하락했고, GS건설은 29.33% 빠졌다.
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