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2년 7월4일 오전 10시. 서울과 평양에선 동시에 하나의 성명이 발표된다. 한반도의 허리가 끊어진 뒤 남과 북이 처음으로 '통일'에 대해 합의한 '7·4 공동성명'이다. 양측은 자주·평화·민족대단결이라는 3대 원칙을 세웠고,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회담을 약속했다. 남과 북의 상설 직통전화도 이때 공식 설치됐다. 역사적 소식을 전한 당시의 뉴스 첫 마디는 이랬다. "사반세기 동안 막혔던 남과 북 사이에 대화의 길이 트이기 시작했습니다."
냉전의 끝자락, 국제적인 데탕트(화해) 분위기에 힘입은 7·4 공동성명은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한반도에 처음으로 '통일'에 대한 기대감이 생겨난 것이다. 1970년대 한창 전성기를 달리던 북한과 박정희 정권 들어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룩하던 남한의 국력이 가장 비슷한 위치에 있던 시기이기도 했다. '무력 지양'이라는 대원칙도 이때 정립됐다. 박정희 정권에서 나온 선언이라 지금까지 보수 진영에서 부정하지 못하는 원칙이며, 진보 세력도 인정하는 결실이다.
통일부는 6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정치 분야 남북회담 문서(1678쪽 분량)를 공개했다. 최초로 통일에 합의한 남북 공동성명이 나오기까지 남과 북은 고위급 인사들은 비밀리에 서울~평양을 오가며 협상을 이어 갔다. 그 막후에는 이후락 중앙정보부장과 김일성 북한 내각 수상의 만남도 있었지만, 이번에 공개된 사료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면담 내용 자체는 비공개지만, 김일성의 일부 발언은 남북 회담에서 이후락의 입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된다. 김일성은 1972년 5월 비밀리에 방북한 이후락을 만나 1·21사태에 대해 직접 사과하고, 6·25전쟁과 같은 동족상잔의 비극이 다시는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고 한다. 이른바 '김신조 사건'으로 잘 알려진 1·21사태는 1968년 1월21일 북한 민족보위성 정찰국 소속 124군부대 무장 게릴라 31명이 청와대를 기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울에 침투한 사건이다.
이후락은 7·4 공동성명이 발표된 뒤 1972년 11월 평양에서 열린 남북조절위원회 공동위원장 회의에서 "지난번 (김일성) 수상께서도 좌경 맹동분자들의 책동을 나무란 일을 나는 기억하고 있다"며 "오늘 개별적으로 만났을 때도 그 문제를 다시 언급하시더군요"라고 말했다. 여기서 '좌경 맹동분자들의 책동'이 김일성이 사과한 1·21 사태를 가리킨 것이다.
이 같은 언급이 나오기 한 달 전인 1972년 10월 판문점 자유의집에서 열린 회의 때 문서에는 6·25전쟁에 관한 김일성의 발언 내용이 등장한다. 당시 이후락은 "나도 지난번 김일성 수상을 뵈었을 때 김일성 수상께선 분명히 다시는 6·25와 같은 전쟁이 없을 터이니까, 그렇게 박 대통령에게 전하시오 하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했다.
김일성이 이후락을 '영웅'이라고 추켜세웠다는 일화도 확인된다. 이후락은 1973년 8월 북한의 일방적인 대화 중단 선언 이후 기자회견을 통해 "제가 평양에 갔을 때 김일성이 나를 보고 세 차례, 네 차례 말하기를 '부장 선생은 민족의 영웅이요, 영웅' 하는 이야기를 합디다"라고 밝힌 바 있다.
회담 문서를 보면 남북조절위 북측 공동위원장이자, 김일성의 동생인 김주영 노동당 조직지도부장의 입을 통해서도 이런 일화를 엿볼 수 있다. 김주영은 1972년 5월 평양을 찾은 이후락에게 "27년간 닫아놓은 문을 이후락 부장 선생이 열었으니 용감한 분이고 영웅이란 말을 (김일성이) 한 거지요"라고 했다.
이 밖에도 회담 문서에선 김일성의 다양한 호칭이 등장한다. 남북 접촉 초기에는 북측 김영주 등이 김일성을 '총비 동지'라고 간단히 지칭하는 대목이 여러 번 나온다. 다만 북측 대표들을 대체로 '수령'이라는 호칭을 썼다. 북한에선 1972년 사회주의헌법이 채택되면서 주석직이 신설됐고, 남측은 회담 자리에서 주로 '수상'이라고 불렀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5월과 12월에도 두 차례에 걸쳐 사료를 공개한 바 있다. 이번에 공개되지 않은 이후락-김일성 간 면담 내용과 박정희 대통령-박성철 북한 제2부수상 사이 대화 내용은 오는 2026년 다시 공개 여부가 논의될 전망이다. 남북회담문서공개심의회 검토는 3년 주기로 진행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