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스퀘어
SK스퀘어
4023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93,700
전일대비
700
등락률
+0.75%
거래량
276,703
전일가
93,000
2025.05.09 15:30 기준
관련기사
11번가, 새 대표이사에 박현수 최고사업책임 선임 SK스퀘어 한명진 "티빙-웨이브 합병 공정위 기업결합 심사중"11번가도 '주말 당일배송'…주7일 배송으로 확대
close
와
CJ ENM
CJ ENM
03576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55,600
전일대비
200
등락률
-0.36%
거래량
81,827
전일가
55,800
2025.05.09 15:30 기준
관련기사
TV광고 시장 위축…CJ ENM, 1분기 영업익 7억·전년비 94.3%↓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성장…CJ온스타일, 1분기 매출 소폭 증가 CJ ENM,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와 손잡고 전세계 시청자 공략
close
이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웨이브와 티빙의 합병 작업에 돌입했다. 규모와 자금력을 갖춰 '골리앗' 넷플릭스에 대항하기 위한 움직임이다.
SK 최고위 경영진은 "웨이브와 티빙의 합병을 위해 협의 중"이라고 4일 밝혔다. 유영상
SK텔레콤
SK텔레콤
0176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52,400
전일대비
700
등락률
-1.32%
거래량
956,445
전일가
53,100
2025.05.09 15:30 기준
관련기사
'유심교체' 못 기다리겠으면 이거라도…뒷수습 분주 SKT '유심포맷 도입'SKT "위약금은 개별 고객과 약정에 따른 것…관련 수치 영업비밀"한신평 "SKT, 해킹 사태로 4000억 자금 소요 할 수도…신용도 영향 '제한적'"
close
대표, 박성하 SK스퀘어 대표, 구창근 CJ ENM 대표 등이 주축이 돼 합병에 따른 시너지를 살펴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쟁점은 합병 비율이다. 일부 주주가 몸값에 대해 이견을 보이고 있지만, 합병은 수순이라는 게 내부 전언이다. 양 사는 이달 내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우선 이들은 콘텐츠 제휴를 통해 시너지를 낼 계획이다.
웨이브와 티빙의 합병설은 2020년 7월 나왔다. 유영상 대표(당시 SKT MNO 사업부장)가 한 행사장에서 "웨이브는 티빙과 합병하길 원한다"고 깜짝 제안하면서다. 합작법인 설립을 준비하고 있던 터라 티빙의 반응은 미온적이었다. 조용했던 합병설은 올해 들어 수면위로 다시 올라왔다. 합병에 냉담했던 CJ ENM이 입장을 바꿔 협상 테이블에 섰기 때문이다. CJ ENM은 미국 엔터테인먼트 회사 '피프스시즈(옛 엔데버콘텐트) 인수합병(M&A)과 미디어 콘텐츠 업황 약화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했다. CJ ENM은 비핵심자산을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웨이브와 티빙의 합병이 급물살을 탄 건 각자도생으로는 생존이 어렵다는 공감대가 형성됐기 때문이다. 토종 OTT는 위기라는 진단이다. 기업별 파편화된 OTT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는 넷플릭스와의 경쟁에서 한계에 직면했다. 지난해 티빙과 웨이브는 각각 1191억원, 1216억원의 적자를 냈다. 해외 OTT와의 제휴 효과도 미미했다. HBO의 드라마를 독점 공개하는 웨이브는 올 상반기 히트작 '더 라스트 오브 어스'를 가져오지 못했다. 비싼 최신작 대신 철 지난 저렴한 콘텐츠를 들여왔다.
넷플릭스는 거대 자본력으로 국내 미디어 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사실상 국내 미디어 시장은 넷플릭스 판이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분석 서비스 모바일인덱스가 발표한 5월 OTT 활성 이용자 수(MAU)를 보면 넷플릭스는 1153만 명으로 독보적인 1위다. 이어 티빙(514만명), 쿠팡 플레이(431만명), 웨이브(391만명) 등의 순이다.
합병하면 웨이브와 티빙의 MAU가 900만명이 넘는다. 넷플릭스와 '한판 대결'이 가능해진다. 방송통신위원회도 경쟁력 강화 방안으로'OTT 통합'을 주장해왔다. 방통위는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OTT통합플랫폼' 구상을 통한 K콘텐츠의 해외진출 방안을 제출하기도 했다. 미디어 업계 관계자는 "콘텐츠 제휴 등 협력을 강화하고 역량을 집결하면 넷플릭스와의 경쟁에서 승산이 있다"면서 "한국 콘텐츠를 통합 K-OTT로 수출하면 해외에서도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