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의 지난해 재생에너지 사용량이 전년보다 65% 증가했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 대비 235만t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성과를 담은 '2023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30일 발표했다. 보고서에는 지난해 발표한 신환경경영전략의 진행 경과 등 최근 1년간의 주요 활동 결과를 담았다.
신환경경영전략은 2030년 디바이스경험(DX) 부문부터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을 포함한 전사는 205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먼저 DX 부문에서 2027년까지 국내외 100% 재생에너지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베트남·인도·브라질 사업장에서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달성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재생에너지 사용량은 8704GWh로 전년 대비 65% 증가했다. 최근 5년간 재생에너지 사용량도 연평균 59%씩 늘었다.
이와 함께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반도체 공정가스 감축, 제조공정 효율화 등을 통해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약 235만t 감축했다.
DS 부문은 2030년까지 공정가스 처리효율을 개선할 혁신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탄소배출 저감시설을 라인에 확충할 계획이다.
지난해 용수 재이용량은 1억1659만t으로 전년 대비 29% 증가했다. 노후설비 교체, 공정 개선, 재이용 시스템 구축 등 지속적인 수자원 절감 노력의 결과라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또한 전자제품의 자원순환성을 위해 2030년까지 플라스틱 부품의 50%, 2050년까지 모든 플라스틱 부품에 재생 수지를 적용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재생 수지 적용 플라스틱 사용량은 전년 대비 3배로 늘었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