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이 중요해졌다(Education has become important)."
최근 아시아경제와 만난 니콜라스 듀푸이 시카고상품거래소(CME) 아태지역 에너지·환경 상품 담당 전무가 한국을 찾은 목적이다. 교육 대상은 한국 에너지 기업이라고 덧붙였다. 듀푸이 전무는 “제2의 코로나19처럼 잘 일어나지 않을 것 같던 상황이 앞으로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며 “가격 헤징을 통한 위기관리가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헤징이란 현물 가격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줄이기 위해 선물이나 옵션 등 파생상품을 이용해 현물 가격 흐름과 반대되는 포지션을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듀푸이 전무는 한국 에너지 기업들이 비중 있게 살펴야 하는 상품으로 원유를 꼽았다. 최근 들어 미국은 우리나라의 주요 석유 공급국으로 자리 잡았다. 2017년만 하더라도 우리나라는 미국에서 하루에 원유 3만7000배럴을 수입했다. 전체 국가 중 11위 수준이다. 그러나 지난해엔 하루당 37만4000배럴을 들여오면서 전체 국가 중 사우디아라비아 다음으로 원유를 많이 들여왔다. 2017년 미국산 원유 수입 비중은 1%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엔 13%에 이르렀다.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감이 커진 가운데 미국산 원유가 상대적으로 싸게 풀렸기 때문이다.
듀푸이 전무는 “한국이 수입하는 원유 가격은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 선물 가격을 기반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한국 에너지 회사라면 WTI 선물 가격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며 “미국의 생산과 수출 능력은 더 강화될 것이기 때문에 미국 벤치마크 WTI 가격 민감도는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헤징 척도로 평가되는 오픈 인터레스트(OI·미체결약정) 건수는 더 늘어나고 있다. 원유 시장에서 미국의 비중이 확대되면서 WTI OI는 지난해 기준 전년 대비 30%나 증가했다. 미체결약정이란 특정 선물계약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는 것을 뜻한다. 이를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어느 정도인지 확인할 수 있다. 줄어들면 해당 상품에 대한 시장 열기가 식고 자금이 이탈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듀푸이 전무는 천연가스 가격의 벤치마크로 사용되는 미국 헨리 허브(Henry Hub Price) 선물에 대한 집중도도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유럽 국가들이 미국산 천연가스 구매자로 새롭게 떠올랐다. 기존 고객인 아시아 국가들과 가격 경쟁이 시작된 것이다. 그는 “가격 매력도가 높은 헨리 허브에 대한 수요는 이어질 것이고, 천연가스 시장에서 미국의 중요성은 더 커질 것”이라며 “헨리 허브 선물 거래로 가격 변동성을 차단하려는 투자자의 수요가 확대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미국의 LNG 수출량은 현재 연간 8000만t 수준이지만 2026년엔 1억2000만t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앞으로 주류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탄소배출’ 관련 상품이다. CME가 제공하고 있는 탄소배출 관련 상품으로는 탄소배출권거래제(ETS)로 구성된 것과 기업이 자체적으로 탄소발자국을 줄이기 위해 크레딧을 구매하는 '자발적인 탄소 배출 상쇄 선물'이 있다. 자발적인 탄소 배출 상쇄 선물은 CME그룹이 관심을 갖고 선보인 지수다. 특정 연도에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기업이 발행한 채권을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듀푸이 전무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적으로 생각했을 때 탄소배출 시장 관련해 새로운 상품을 제공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다"며 "한국 시장에서도 일부 대기업 중심으로 탄소배출 관련 채권을 발행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CME그룹은 세계 최대 파생상품거래 거래소 그룹이다. 미국 4대 주요 파생상품 거래소인 시카고상품거래소(CBOT), 시카고상업거래소(CME), 뉴욕상업거래소(NYMEX), 뉴욕상품거래소(COMEX)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금리, 주가지수, 외환, 에너지(원유, 천연가스, 탄소배출권 등), 농산물(옥수수, 대두 등), 금속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다양한 상품을 제공 중이다. 파생상품 선물옵션거래를 주로 다루는 시장이다 보니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글로벌 투자자들이 모두 모이는 집결지다. 23시간 동안 거래되며, 자산별로 다루는 상품이 많아 투자자 맞춤형 대응에 특화된 것이 강점이다.
니콜라스 듀푸이 전무는 2016년 9월 CME그룹에 합류해 아태지역 에너지와 환경 부문 비즈니스를 이끌고 있다. 이전에는 소시에테제네랄(SG) 아태 에너지 파생상품 책임을 지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