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 국내 첫 양산…배터리수명 30%↑

청주 공장에서 이달 시작
2027년 연산 5만t으로 확대

LG화학 이 국내 최초로 전기차 배터리 수명을 30% 늘릴 수 있는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 양산에 들어갔다.


LG화학은 이달부터 청주 양극재 공장에서 차세대 배터리용 하이니켈 단입자(단결정) 양극재 양산을 시작했다고 26일 밝혔다. 첫 생산 물량은 다음달부터 글로벌 고객사로 보내질 예정이다. LG화학은 2027년까지 단입자 양극재 생산라인을 구미 공장으로 확장하고, 총 생산규모를 연산 5만t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단입자 양극재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 여러 금속을 하나의 입자형상(One-body)으로 만든 소재다. 수명과 용량이라는 차세대 전지 핵심 과제를 해결할 열쇠로 꼽힌다. 기존 양극재는 금속 입자들을 작게 뭉쳐 만든 다입자(다결정) 구조다. 충전과 방전이 반복될수록 소재 사이에 틈이 벌어지는데, 틈에서 가스가 발생하며 전지 수명이 점차 줄어든다.


내구성이 높은 단입자 양극재를 사용하면 가스 발생이 적어 안정성을 높이고 배터리 수명을 기존보다 30% 이상 늘릴 수 있다. 배터리 수명 저하 문제는 그동안 전기차 보급을 가로막는 장벽이었다. 단입자 양극재가 기존 배터리 한계를 뛰어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터리 용량도 10% 이상 늘어난다. 기존 양극재보다 밀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기존 양극재로 만든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가 한번 충전에 500㎞를 간다면, 같은 크기의 단입자 양극재 배터리로는 550㎞ 이상 주행할 수 있다.

LG화학,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 국내 첫 양산…배터리수명 30%↑ 원본보기 아이콘

국내에서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를 양산하는 것은 LG화학이 처음이다. LG화학은 배터리의 가스 발생 문제가 고객의 페인 포인트인 것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21년부터 본격적인 연구개발에 착수해 왔다.


LG화학은 초기 양산에서는 단입자 양극재와 기존 양극재를 2:8 비율로 혼합해 생산한 뒤 순차적으로 단입자만 100% 들어간 양극재로 바꿔나갈 계획이다. 적용 제품도 파우치형을 비롯해 4680원통형 배터리(지름 46㎜, 길이 80㎜)등에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하이니켈 단입자 양극재는 미래 배터리 소재 시장의 판도를 바꿀 혁신이자, 고객 페인 포인트(pain point·불편함을 느끼는 지점)를 해결할 열쇠"라며 “전지 소재 기술력과 다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시장을 이끌며 글로벌 최대 종합 전지 소재 회사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