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샴푸’를 판매하는 TS트릴리온 이 4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나섰다. 유상증자로 200억원, 전환사채(CB)로 200억원을 각각 조달할 계획이다. 다만 유상증자 대상자가 제도권 금융사가 아닌 자본금 1000만원에 불과한 신생 법인이라 자금 조달 가능성과 자금 출처에 대한 물음표가 붙는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TS트릴리온은 21일에 200억원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증자 대상자는 ‘제이유홀딩스’라는 유한회사다. 제이유홀딩스는 지난 4월 자본금 1000만원으로 설립된 법인이다. 사업목적은 경영컨설팅, 부동산개발 및 임대업 등이다. 법인 본점은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온천로 318에 두고 있다.
제이유홀딩스의 대표이사는 정창호씨로 1986년생이다. 이사 김제태씨는 1987년생으로, 이 둘은 경기도 화성 지역의 한 고등학교 동창으로 파악된다. 두 사람은 제이유홀딩스의 지분을 50%씩 보유하고 있다. 각 500만원씩 출자해 유한회사를 설립한 것이다.
이번 유상증자의 납입일은 오는 9월7일이다. 이때까지 제이유홀딩스는 200억원을 마련해야 한다. 신생법인인 제이유홀딩스가 증자 자금을 마련하려면 자본금을 늘리거나 차입을 해야 한다. 다만 유한회사라 자본금을 늘리기는 어렵고 차입금으로 TS트릴리온 투자금을 마련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자금 출처를 숨기기 위해 페이퍼컴퍼니를 이용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제도권 금융사들은 이 같은 방법을 선호하지 않는다.
유상증자와 함께 TS트릴리온은 200억원 규모의 CB도 발행한다. CB 발행 대상자는 ‘이노베이션바이오1호조합’이다. 이 투자조합도 대표집행위원(GP)과 재무적투자자(LP)가 누군지 알려지지 않았다. TS트릴리온은 전날 정정공시를 통해 “조합 출자자 최대인원을 49인 이하로 구성할 것이고, 출자자가 확정되면 추후 정정공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까지 출자자가 모집되지 않았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앞서 지난해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는 빗썸과 쌍방울 등의 사례가 거론되며 익명의 투자조합 등에 CB 등을 발행해 머니게임을 벌이는 상황이 지적되기도 했다. 당시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빗썸 회장’ 논란에 휩싸인 상장사들의 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인수 주체는 전부 조합으로, 특정 집단에 사채를 넘겨준 후 주식으로 전환할 때 호재를 띄워 특혜를 준 게 아닌가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복현 금감원장은 “사모 투자조합을 만들어 규제를 회피하는 등의 시장교란 행위를 유념해서 보겠다”고 답한 바 있다.
총 400억원의 자금 조달에 성공한다면 이 자금 중 대부분은 차입금 상환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 1분기 말 기준 TS트릴리온의 만기 1년 미만 차입금은 372억원에 이른다. 이와 달리 유동자산은 103억원이다. 더구나 유동자산 대부분은 재고자산과 매출채권이다. 현금성자산은 3억원에 불과하다. 부채비율 역시 288.47% 수준이다.
이 때문에 앞서 TS트릴리온은 지난 4월 150억원 규모의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을 검토하기도 했지만 결국 무산됐다. 당시 NICE신용평가는 TS트릴리온에 대해 ▲단일 브랜드 의존도 매우 높음 ▲TV홈쇼핑 통한 소비자 노출 빈도 감소에 매출 규모 감소 가능성 ▲과중한 차입에 미흡한 금융비용 충당 능력 ▲저하된 재무안정성 수준 지속 전망 등을 지적했다.
실제 TS트릴리온의 샴푸 제품 매출은 2018년 621억원에서 매년 감소해 지난해 274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NICE신용평가 관계자는 “유동성 위험도 높은 수준으로 판단된다”며 “외부 자금조달에 의존한 공격적 자금 정책 등은 신용도에 부정적 요소로 고려된다”고 덧붙였다.
한국신용평가도 TS트릴리온에 대해 ▲사업안정성 열위 ▲경쟁 심화로 실적 크게 저하 ▲재무부담 과중 등을 지적했다. 이와 같은 자금 조달과 관련한 내용에 대해 TS트릴리온 관계자는 “향후 공시를 통해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증자와 CB 발행 후 주식 전환이 이뤄지면 장기영 TS트릴리온 대표와 특수관계자 등의 지분율은 현재 70%에서 40%대로 내려간다. 다만 CB에 50% 콜옵션이 붙어있어 이를 행사할 경우 장 대표 지분율은 50%대가 될 전망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