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이 중국 아닌가?" 착각…中 공항에 갇힌 메시

아르헨티나-스페인 복수여권 소지한 메시
예전에 스페인-대만 무비자로 입국한 경험
중국에도 스페인 여권 내밀었다가 해프닝

아르헨티나 '축구의 신' 리오넬 메시(36)가 중국 공항에 갇히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메시는 15일(현지시간) 중국에서 열릴 호주와의 친선 경기를 위해 10일 베이징에 입국했다. 대표팀 동료인 앙헬 디 마리아, 경호원, 친구들과 함께 개인 전용기로 도착했다.

아르헨티나 축구선수 메시가 비자 문제로 중국 공항에 일시적으로 갇히는 해프닝이 발생했다. [사진출처=SNS 캡처]

아르헨티나 축구선수 메시가 비자 문제로 중국 공항에 일시적으로 갇히는 해프닝이 발생했다. [사진출처=SNS 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12일 데일리 메일·더 선 등 영국 매체들에 따르면, 메시는 베이징 공항에서 여러 명의 공안에 둘러싸였다. 메시가 여권을 들고 설명하지만, 말이 통하지 않는 듯한 모습이 담긴 영상이 SNS를 통해 퍼졌다. 메시는 주위를 두리번거리며 당황한 모습이었다.


이유는 비자 문제 때문이었다. 아르헨티나-스페인 이중국적자인 메시는 아르헨티나 여권을 놓고 왔고 대신 스페인 여권을 제시했다가 난처한 상황에 놓인 것으로 전해졌다.


'축구의 신'이라 불리는 리오넬 메시(36·아르헨티나)가 중국 공항에 일시적으로 갇히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사진출처=데일리메일]

'축구의 신'이라 불리는 리오넬 메시(36·아르헨티나)가 중국 공항에 일시적으로 갇히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사진출처=데일리메일]

원본보기 아이콘

메시는 이전에 스페인 여권으로 무비자로 대만에 입국한 적이 있는데, 스페인 여권으로 중국에도 비자 없이 입국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영국 매체들에 따르면 메시는 "대만은 중국이 아닌가"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만이 중국의 일부라고 착각한 것으로, 스페인과 중국은 무비자 협정을 맺지 않았다.


명백한 메시의 실수지만 '하나의 중국' 원칙을 강조하며 대만을 공식 국가로 인정하지 않는 중국으로선 오히려 반길만한 대답이었다.


그러나 메시를 보기 위해 아르헨티나 숙소인 호텔 밖에 수많은 중국 팬들이 몰리면서, 메시는 또 일시적으로 호텔에 갇혔다. 아르헨티나 대표팀은 안전을 이유로 호텔을 떠날 수 없어 훈련 시간을 더 늦게 조정했다. [사진출처=AP·연합뉴스]

그러나 메시를 보기 위해 아르헨티나 숙소인 호텔 밖에 수많은 중국 팬들이 몰리면서, 메시는 또 일시적으로 호텔에 갇혔다. 아르헨티나 대표팀은 안전을 이유로 호텔을 떠날 수 없어 훈련 시간을 더 늦게 조정했다. [사진출처=AP·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결국 메시는 공항 의자에 앉아 한참을 대기해야 했다. 메시는 2시간을 더 대기한 뒤 아르헨티나 관계자들의 도움으로 비자를 발급받았다. 다행히 입국 심사를 통과한 뒤 호텔에 도착했다.


그러나 메시를 보기 위해 아르헨티나 숙소인 호텔 밖에 수많은 중국 팬들이 몰리면서, 메시는 또 일시적으로 호텔에 갇혔다. 아르헨티나 대표팀은 안전을 이유로 호텔을 떠날 수 없어 훈련 시간을 더 늦게 조정했다.


한편, 6년 만에 중국에 온 메시를 보기 위해 현지 열기가 뜨겁다. '30만 위안(5400만원)을 내면 메시와 저녁 식사할 수 있다'는 광고가 돌고 있다. 또 '8000위안(140만원)을 내면 메시 사인을 받을 수 있다'는 광고도 있다. [사진출처=EPA·연합뉴스]

한편, 6년 만에 중국에 온 메시를 보기 위해 현지 열기가 뜨겁다. '30만 위안(5400만원)을 내면 메시와 저녁 식사할 수 있다'는 광고가 돌고 있다. 또 '8000위안(140만원)을 내면 메시 사인을 받을 수 있다'는 광고도 있다. [사진출처=EPA·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울러 6년 만에 중국에 온 메시를 보기 위해 중국 대륙은 뜨겁게 달아올랐다. 온라인 상에서는 "30만 위안(5400만원)을 내면 메시와 저녁 식사할 수 있다"는 광고가 돌고 있다. 또 "8000위안(140만원)을 내면 메시 사인을 받을 수 있다"는 광고도 있다. 물론 모두 가짜 광고다.


한편 최근 프랑스 파리 생제르맹과 계약이 끝난 메시는 미국 인터 마이애미로 이적한다고 발표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