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면서 외교 무대에서 한국의 역할론이 주목받고 있다. 현행 주요 7개국(G7) 체제가 재편될 경우 한국의 위상이 달라질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하지만 국제사회의 역학관계를 고려할 때 한국의 위상 확대를 견제하는 흐름도 있기에 현실은 첩첩산중이다.
윤 대통령은 19~21일 일정으로 열리는 G7 참관국(옵서버) 자격으로 일본을 방문했다. 우리 정상의 G7 정상회의 참석은 이번이 네 번째다. 윤 대통령은 오는 21일까지 2박3일 간 히로시마에서 G7 의장국인 일본을 비롯해 호주, 영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5개국 정상들과 양자 정상회담을 한다. 21일 개최되는 한일정상회담은 서울 정상회담 이후 2주 만이다.
일본 히로시마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9일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올라 환송객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윤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함께 북한 핵·미사일 위협과 역내 공급망 불안정, 에너지 위기 등 공동의 도전 과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특히 지난해 11월 한미일 정상회담의 '프놈펜 성명'에 포함된 '북한 미사일 경보 정보 실시간 공유'를 실질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정상회의 참석은 12년 만에 '셔틀 외교'가 재개하는 등 한일 관계의 복원·강화된 모습 상황 속 일본의 초청으로 성사된 만큼 큰 의미가 있다는 평가로, 한국의 위상이 커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 G7이 G8이나 G11 등으로 확대될 경우 한국이 그 주인공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다.
하지만 갈 길은 멀다. 미국은 G7 회원국 변화에 대한 논의가 없다고 밝힌 상태다. 베단트 파텔 국무부 수석부대변인은 15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한국을 포함해 G8로의 확대 가능성에 대해 "돌아오는 G7 정상회의를 앞두고 회원국 변화와 관련해 어떤 논의에 대해서도 알지 못한다"며 "물론 우리는 회의가 열리는 것을 우선 봐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일본 역시 비슷하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최근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지금까지 G7 내에서 멤버 확대에 대해 논의해 본 적이 없다"고 밝혔다.
다만 G7 초청국으로 참석한 것 자체에 의의를 두는 시각도 있다. 윤희숙 전 국민의힘 의원은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제일 중요한 건 우리가 (G7에) 초청돼서 갔다는 것"이라며 "G7이라는 세계의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의 질서를 만들어내는 플랫폼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은 굉장히 중요한 희망"이라고 말했다.
한편 2020년 한국 등을 포함해 G7을 확대 재편하자는 논의는 트럼프 정부 시절 논의된 바 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한국·호주·러시아·인도 4개국이 추가된 G11의 체제 전환을 제안했다. 하지만 기존 회원국의 반대로 무산됐다.
특히 일본은 한국의 G7 참여를 반대한다는 뜻을 미국 정부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G7 회원국 지위를 유지하고 싶다는 아베 정권의 의향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당시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한국 참여시 아시아에서 유일한 G7 회원국이라는 지위가 퇴색될 수 있고, 국제사회에서 과거사 문제와 관련한 한국의 발언권이 세질 것을 우려해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