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제 개편, 국민 원하는 방향은? 정개특위, 6일·13일 공론화

지역구·비례대표 등 총 4개 의제
500인 시민참여단 대상 숙의토론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정개특위)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추진하는 '선거제도 개편'과 관련해 시민 대상의 '숙의 토론회'를 개최한다. 정치권이 주도하는 선거제 개혁 논의에서 유권자인 국민들의 의견이 얼마나 반영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3일 남인순 정개특위 위원장은 국회에서 "오는 6일과 13일 양일간 500인의 시민참여단을 대상으로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편에 대한 공론화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남 위원장은 "이번 공론화 과정은 선거제도에 대한 국민인식 제고를 위해 중요하다"면서 "KBS를 통해 생중계되고 결과는 13일 폐막식에서 즉시 발표한다"고 말했다.


정개특위는 지난 4월 13일 한국리서치와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가 공동으로 참여하고 한국방송공사(KBS)가 협력사로 꾸려진 컨소시엄을 공론화 사업 수행업체로 선정한 바 있다.


이번 공론조사는 권역별, 성별, 연령별로 비례배분해 모집한 500명의 시민참여단이 본인의 거주지역과 인접한 KBS본사(251명)와 4개 지역총국(대전 67명, 대구 48명, 광주 57명, 부산 77명)에 모여서 지역구, 비례대표 등 국회의원 선거제도와 관련한 주요 쟁점 사항에 대해 토론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민참여단은 사전에 받은 자료집과 영상자료 등을 통해 국회의원 선거제도를 학습한 후 회의에 참여하게 된다.


오는 6일과 13일 이틀 동안 발제·토론 등 패널 토의 4회, 전문가 질의응답 6회, 분임토의 5회로 구성된 숙의 과정을 거치며 공론조사에 응하게 된다.


공론조사의 의제는 총 4가지다. 첫 번째 의제는 선거제도 개편의 원칙과 목표로서 선거 결과의 비례성, 대표성, 책임성을 높이고 국민이 수용 가능한 선거제도를 마련함으로써 승자독식 선거제도를 극복하고 지역주의 정당구도를 완화하며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려는 내용을 논의한다.


두 번째 의제는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구의 크기로 ▲한 개의 선거구에서 1인을 선출하는 소선거구, ▲한 개의 선거구에서 3~5인을 선출하는 중선거구, ▲한 개의 선거구에서 5인 이상을 선출하는 대선거구에 대한 숙의를 진행하며, 추가로 농산어촌 지역의 대표성 제고 방안으로서 ▲도농복합형 선거구제가 논의될 예정이다.


세 번째 의제는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출방식이다. 비례대표 선출 단위(전국/권역), 의석 배분 방식(병립형/연동형), 명부 작성 방식(폐쇄형/개방형) 등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출방식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국민이 선호하는 비례대표 선거제도를 확인하겠다는 계획이다.


끝으로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비율과 의원정수도 논의한다. 500인의 시민참여단은 앞서 논의한 의제들을 바탕으로 선거 결과의 비례성과 대표성을 높이기 위한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 비율을 논의할 예정이며, 의석 비율과 연계된 현행 국회의원 정수의 변경 필요성 여부도 함께 토론하게 된다.


첫 번째 의제와 두 번째 의제는 첫째 날인 6일에, 세 번째 의제와 네 번째 의제는 둘째 날인 13일에 각각 다뤄진다.


각 의제별로 3명의 전문가(발제자 1명, 토론자 2명)가 각각 나서서 500인의 시민참여단이 심도 있는 숙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남 위원장은 "한국 정치 역사상 최초로 실시하는 선거제도 개편 국민 공론조사에 기대가 큰 것을 알고 있다"며 "숙의형 공론조사를 통해 국민의 다양한 의견을 확인하고 이를 선거제도 개선 논의에 반영하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 국민과 정치권 모두가 수용 가능한 선거제도를 설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어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서 국민이 진심으로 원하는 국회의원 선거제도를 만들 수 있도록 소명을 가지고 최선을 다할 것"이라면서 "이번 공론화 과정을 관심 있게 지켜봐 달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민 여론이 부정적으로 나올 경우 어떻게 하겠는가'라는 기자들의 질문에 "국민 공론조사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든지 그대로 반영해야 한다 생각한다"면서 "단발적인 여론조사를 한 게 아니라 자료를 제공하고 복수 토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국민을 차명하는 500인이 심도깊은 논의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