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포럼(WEF)은 신기술 도입, 기업들의 녹색 에너지 전환 등 영향으로 향후 5년간 우리나라 일자리 23%가 변화를 겪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일(현지시간) WEF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2027년까지 한국의 일자리 변동률이 23%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번 보고서는 WEF가 전 세계 45개국 800개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다.
보고서는 앞으로 5년간 인공지능(AI) 등 신기술 도입과 기업의 친환경 에너지 전환으로 글로벌 일자리 변동률이 25% 가까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우리나라도 이와 비슷한 폭의 변화를 겪게 될 것이란 예상이다.
보고서는 전 세계 산업계가 2027년까지 690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면서도 8300만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AI 기술 적용으로 추론이나 의사소통, 의사 조정 업무를 주로 하는 일자리는 사라지고 빅데이터 분석, 사이버 보안 등 분야의 일자리는 많아질 것이란 예상이다.
친환경 에너지 전환과 공급망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 등도 고용 시장의 변동성을 늘리는 요인으로 거론됐다. 조사 대상 한국 기업들의 72%는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대한 투자가 해당 분야의 일자리 증가를 늘릴 것으로 예상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