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미국가던 마셜제도 국적 유조선 나포…美 "국제법 위반"

이란 혁명수비대(IRGC)가 오만만에서 미국으로 향하던 마셜제도 국적 유조선을 나포했다고 미국 해군이 밝혔다. 이란핵협상(JCPOA)이 엎어진 이후 대이란제재가 장기화되면서 이란이 미국에 대한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27일(현지시간) CNN에 따르면 중동지역을 담당 중인 미 해군 5함대는 성명을 통해 "이날 오후 1시 15분께 마셜제도 국기를 단 유조선 '어드밴티지 스위트'호가 IRGC에 의해 나포됐다"며 "유조선이 나포되는 과정에서 조난 신호를 보내왔다. 이란의 이런 행위는 국제법을 위반하는 것이며 지역 안보와 안정을 저해한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이어 "이란은 지난 2년간 5회 이상 상업용 선박을 나포했다"며 "이란 정부는 즉각 해당 유조선을 석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어드밴티지 스위트호는 쿠웨이트를 떠나 미국 휴스턴으로 향하던 도중에 IRGC에 의해 나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 정부는 유조선 나포와 관련한 입장을 즉각 내놓지 않고 있다.


미 해군이 밝힌 IRGC의 선박 나포 지점은 호르무즈 해협과 이어지는 오만만 공해상이다. 폭이 40㎞에 불과한 호르무즈 해협은 세계 해상 원유 운송량의 약 20%가 통과하는 곳으로 미국 군함과 혁명수비대 함정 간 군사적 마찰이 빈발하는 곳이다.


최근 이란은 미군 잠수함이 이 지역 영해를 침범했다고 주장했고, 미국은 이를 부인하면서 양측의 긴장이 고조된 상황이다. 올해 2월 JCPOA가 양국의 협상 결렬로 사실상 무산된 이후 미국과 이란간 관계는 크게 악화되고 있다.

이란 정부가 자국 해역 일대에서 선박 나포를 일삼으면서 유조선 안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앞서 IRGC는 지난해 5월 그리스 유조선 2척을 나포했다가 6개월 만에 풀어주기도 했다. 이보다 앞서 2021년 1월 호르무즈 해협서 한국케미호와 한국인 5명을 포함한 선원 총 20명을 해양 오염 혐의로 나포했다가 이후 선원 19명은 약 1개월만에, 선박과 선장은 95일 만에 풀어준 바 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