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농기계 시장 200조원인데 한국은 1%에 불과"

전경련, ‘농기계 산업 글로벌 동향과 한국의 과제’ 보고서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200조원에 달하는 세계 농기계 산업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첨단 농기계 관련 연구개발(R&D)이나 설비 투자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 적용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9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농기계 산업 글로벌 동향과 한국의 과제’ 보고서에서 자율주행·로보틱스 등 첨단산업으로 진화하는 농기계 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으로 한국 농업에 돌파구를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농기계 산업의 시장 규모는 약 1570억달러(약 200조원). 매년 5% 이상 꾸준하게 성장하는 유망한 산업군이다. 주요 기업으로는 존디어(미국), CNH(영국), 구보다(일본), AGCO(미국) 등이 있다. 이들 상위 4개 기업이 세계시장의 약 40%를 차지한다.

"세계 농기계 시장 200조원인데 한국은 1%에 불과" 원본보기 아이콘

농업의 패러다임이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농업’으로 변화함에 따라 트랙터, 콤바인 등 전통적인 농기계에서도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최근 개최된 CES 2023에서 기조발표로 많은 관심을 받은 농기계 글로벌 1위 기업인 존디어는 이미 유인 자율주행 2단계의 트랙터를 양산하고 있다. 사람이 필요 없는 자율주행 4단계 트랙터에 대한 연구개발까지 완료했다.


반면 한국의 농기계 내수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2조3000억원 수준에 불과하다.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1.7%에 그쳤다. 주요 기업인 대동, LS엠트론, TYM 등은 매출 규모 측면에서 글로벌 기업의 비교대상이 되지 못한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 농기계 분야에서 우리 기업들의 기술 수준이 선진국 대비 약 3년 정도 뒤처진다고 평가했다.


전경련은 보고서에서 농기계 관련 연구기관(농촌진흥청, 기계연구원, 생산기술연구원 등)을 포괄하는 산학연 연계 클러스터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를 법적·제도적으로 강력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현재 국회에 제출된 ‘스마트농업육성법’의 조속한 통과가 필요하다고 봤다. 첨단 농기계 관련 연구개발(R&D)이나 설비에 투자하는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 적용도 검토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또한 성장이 정체된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 농기계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도 절실하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수출 부진 등 한국 산업 전반의 경제활력이 많이 위축된 상황에서 농기계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한다면 식량?농업위기 극복과 신성장 동력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개도국 대상 농촌개발 ODA(공적개발원조) 추진 시 국내 농기계 기업의 참여를 염두에 둔 사업 설계도 검토해볼만 하다"고 덧붙였다.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