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임춘한 기자] 최근 코로나19 재유행이 시작된 가운데 자가검사키트 구매에 어려움을 겪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지난달부터 편의점의 경우 의료기기판매업 신고를 한 편의점에서만 판매가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7월20일부터 전국 편의점에서 자가검사키트를 판매할 수 있도록 했다. 해당 조치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줄어들자 9월30일부로 종료됐다. 그러나 이 같은 사실을 알지 못하는 소비자들이 많아 편의점에 헛걸음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심야시간에는 대부분의 약국이 영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자가검사키트가 급하게 필요할 때 구하지 못하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
현재 의료기기판매업을 신고한 편의점은 전체 5만여개 중 절반가량인 2만6000여개 수준이다. CU는 9000여개, GS25는 9000여개, 세븐일레븐은 6500여개, 이마트24는 1400여개 점포에서 자가검사키트를 판매하고 있다. 각사들은 자체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점포 위치와 재고를 파악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 역시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대다수다. 또한 스마트폰에 익숙한 사람들은 쉽게 이용할 수 있지만 고령층·저시력자 등 온라인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사람들은 소외될 수밖에 없다.
일각에서는 자가검사키트 공급난에 대한 우려도 나오지만 식약처는 충분한 생산 역량 갖췄다는 입장이다. 당장은 자가검사키트 물량이 많이 풀려있어 공급과 가격에는 큰 문제는 없어 보인다. 다만 과거 코로나19 확진자 급증 때마다 정부의 예측과 달리 자가검사키트 품귀현상이 벌어졌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이제는 코로나19 재유행이 본격화된 만큼 자가검사키트 접근성을 높여야할 때다. 국민의 보건과 생명에 직결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과하다 싶을 정도로 강력한 선제 조치가 필요하다. 자가검사키트를 구매·사용하는데 소비자들의 불편함이 없도록 판매처 확대를 다시 고려해야 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