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로 비정규직 10명 중 3명 실직…“정규직 5배”

직장갑질119, 직장인 1000명 설문조사 결과

코로나 사태로 비정규직 10명 중 3명 실직…“정규직 5배”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임춘한 기자]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실직과 소득감소 등의 피해가 비정규직 노동자에게 더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시민단체 직장갑질119와 공공상생연대기금이 직장인 1000명(정규직 600명·비정규직 400명)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와 직장생활 변화'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1월 코로나19 발생 이후 실직 경험이 있다는 전체 응답은 15.4%였다. 이 중 비정규직은 29.5%가 실직 경험이 있다고 답해 정규직(6.0%)보다 5배 높았다. 해당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달 10∼16일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2020년 1월보다 소득이 줄었다는 전체 응답은 28.4%였다. 마찬가지로 비정규직(50.5%) 답변자가 정규직(13.7%)보다 4배가량 높았다. 소득 감소는 월 급여 150만원 미만(50.9%)과 5인 미만 사업장(40.5%) 근무자에게서 특히 두드러졌다.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거나 유사 증상을 겪었을 때도 정규직은 유급휴가를 사용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비정규직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자 중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던 353명을 대상으로 세부 조사한 결과 유급휴가 사용 비율은 정규직이 45.0%로 비정규직(15.3%)보다 3배 높았다. 반면 확진 후 무급휴가를 쓴 비율은 비정규직(37.4%)이 정규직(11.7%)보다 3배 이상 많았다. 코로나19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기 위해 정규직은 50.7%가 별도 유급휴가 혹은 연차휴가를 사용했지만 비정규직은 26.0%만 사용했다. 그 결과 정규직은 11.6%만 소득이 줄었지만 비정규직은 44.1%가 소득이 감소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정신 건강도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이 크게 악화했다. 정규직(40.7%)보다 비정규직(54.7%)이 지난 2주간 우울감을 느꼈다는 응답이 많았고,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응답자도 정규직 14.0%, 비정규직 28.0%로 2배 많았다.

직장갑질119 대표인 권두섭 변호사는 "코로나19 이후 피해가 집중된 계층은 비정규직과 5인 미만 등 작은 사업장 노동자들로 확인된다"며 "고용보험 제도의 밖에 놓인 이들을 위해 정부는 최저임금의 70%를 6개월간 지급하는 재난 실업수당을 신설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춘한 기자 cho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