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미국 재무부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중동 순방을 앞두고 대이란제재 추가조치를 발표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스라엘 등 중동 주요 동맹국들의 대이란 강경정책 강화 요구에 따른 상징적 조치로 풀이된다. 미국의 중동정책에서 사우디를 중심으로 한 아랍국가들의 석유증산을 이끌어내는 것이 가장 큰 과제로 변한만큼, 이란핵합의 복원 협상이 무산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6일(현지시간)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실(OFAC)은 보도자료를 통해 이란에서 동아시아로 석유·석유화학 제품 수억달러 상당의 수출을 도운 15개 기업 및 단체, 개인 등을 추가 대이란제재 대상으로 올렸다고 밝혔다. 브라이언 넬슨 재무부 테러·금융정보 담당 차관은 자료에서 "JCPOA 상호 복귀를 위한 합의 달성에 전념하고 있지만, 계속 이란산 석유·석유화학품 판매 제재 이행을 위해 모든 권한을 사용할 것"이라고 했다.
제재 대상은 이란산 석유와 중국 등 동아시아 에너지 기업들의 거래를 연결하는 유령회사들과 이를 내세워 거래한 이란 회사 등이다. 이란 소재 석유화학 제품 수출기업인 JPC, 아랍에미리트(UAE) 소재 에드거커머셜솔루션스, 해당 거래를 대리했던 홍콩 소재 러스트로산업 등도 제재 대상에 포함됐다. 이 밖에 재무부 제재 대상인 회사의 거래 대금을 송금한 홍콩 소재 올리게이국제무역, 개인으로는 이란산 원유 수출에 관여한 UAE 활동 이란 국적자 두 명이 제재대상에 올랐다.
이날 조치는 지난 3일 카타르 도하에서 미국과 이란 양측이 핵합의 복원을 위한 간접 협상에 임한 직후 이뤄졌다. 당시 협상은 유럽연합(EU)의 중재에도 별다른 진척없이 하루만에 끝났다.
특히 13일부터 시작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중동순방을 앞두고 대이란제재 추가조치가 발표되면서 이란핵합의 복원협상 자체가 무산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특히 미국과 이란은 이란 혁명수비대의 테러조직 지정 철회 요구와 제재 부활 방지 보증 조항 등의 사안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중동순방에서 사우디와 아랍연맹 국가들의 석유 증산을 이끌어내야 하는 바이든 행정부 입장에서 앞으로도 이란핵합의 복원보다 사우디와의 관계정상화에 더 무게를 실을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AP통신에 따르면 사우디를 비롯한 중동국가들은 배후에서 각종 반군, 테러단체를 지원 중인 이란에 대한 미국의 억제력 강화와 군사지원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란정부는 미국의 추가제재 조치에 불쾌감을 표시했다. CNN에 따르면 이란 혁명수비대는 이날 가일스 휘태커 주 이란 영국 부대사와 폴란드 국적의 과학자 등 외국인들을 간첩협의로 체포했다고 밝혔다. 이란 혁명수비대에 따르면 휘태커 부대사 등은 출입이 금지된 군사시설에 들어가 토양샘플을 채취한 혐의를 받고 있다. 다만 휘태커 부대사는 조사를 마친 후, 국외 추방된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