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엿새째…철강·석유화학 출하감소 등 타격

가동 중단, 출하 감소, 납품 지연, 물류 비용 증가 등


정부 협상 지지부진…'하투' 등 전방위적 노동갈등 우려

화물연대 파업 이틀째였던 지난 8일 오후 부산시 강서구 부산신항 삼거리에서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집회를 여는 모습.(이미지 출처=연합뉴스)

화물연대 파업 이틀째였던 지난 8일 오후 부산시 강서구 부산신항 삼거리에서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집회를 여는 모습.(이미지 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 총파업이 엿새째 이어지는 가운데 철강, 석유화학 업계 등이 출하 감소 등 직격탄을 맞았다. 파업 장기화 시 원재료 가격 상승 등 경영 리스크에 시달리고 있는 조선업계 등 제조업 전반적으로 피해가 확산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12일 산업계에 따르면 화물연대 총파업 엿새째, 정부와의 협상은 사흘째로 들어갔지만 파업 중단에 관한 뚜렷한 신호는 아직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운송 중단 선언으로 출하 감소 같은 1차적인 피해는 물론 가동 중단(셧다운), 안전사고 리스크 확대 등 피해가 커지고 있다.

포스코 등 철강업계의 경우 전날 포항에서 벌어진 집회로 육송 물량 2만t이 출하되지 못했다. 화물연대 포항본부 조합원 500여명이 포스코 3문과 운송업체 앞 등 포항, 경주 등 10여 곳에서 집회를 한 영향이다. 대전의 한국타이어 한온시스템 , 충청남도 아산의 현대차 공장, 충청북도 단양의 한일시멘트 성신양회 한일현대시멘트 , 강원 영월 한일시멘트 동해 쌍용씨앤이 강릉 한라시멘트 등 제조업 현장 곳곳에서 전방위적인 파업이 발생했다.


포항제철소의 경우 제품 출하가 지장을 빚으면서 창고에 넣을 공간이 부족해지고 있으며 사측은 긴급재 운송 등 필요한 조치를 하고 있다. 당장의 불편함을 넘어 고객사와의 거래가 끊기는 등 심각한 경영 차질을 빚을까 우려하고 있다. 한국타이어 등 차 업계도 상황은 비슷하다.


울산 산업단지도 사정은 비슷하다. 전날 기준 1400여명이 파업에 참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석유화학 자동차 등 주요 제조업 생산 현장에서 파업에 따른 자재·부품 수급 등 애로가 커지고 있다.

울산 석화단지의 경우 화물연대 노조원들이 주요 길목을 막아서면서 제품을 보내지 못하고 공장 앞에 쌓아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업체들은 거래처로의 납품 중단 등을 걱정하고 있다. 조선 건설 등 다른 업종 업체들도 파업 장기화 후 재고가 바닥나면 부품 공급 차질 등 2차 3차 피해가 일어날 수 있다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현대차는 1000여명이 납품 차량 진입을 막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차량 생산 차질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이다. 부품 등 재고 물량이 바닥날 경우 조선·비철금속 같은 다른 업종 업체들도 공장 가동률을 낮추는 등 실질적인 피해를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파업을 넘어 노동계와 산업계의 전면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파업에 따른 공장 가동 중단 및 안전사고 리스크, 납품 지연에 따른 거래처 계약 중단 리스크, 물류 비용 증가 등은 '단기 리스크'에 불과하고 최악의 경우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이나 제도 개선 요구 등 '정치 투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화물연대는 정부에 '안전운임제'의 일몰제 폐지 및 전차종·전품목 확대와 유가 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고 있다. 안전운임제는 화물 기사들의 적정임금을 보장해 과로·과적·과속을 방지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된 제도로 2020년부터 올해까지 3년만 시행하는 제도다. 연말에 폐지하지 말고 제도를 계속 돌리라는 게 화물연대의 요구다. 일몰 조항 폐지는 물론 컨테이너와 시멘트 품목 이외 모든 차종과 모든 품목으로 안전운임제를 확대 적용해달라고 요청 중이다.


물가 상승과 코로나19 엔데믹 등을 명분으로 노동조합이 기업과의 고강도 하투(여름투쟁)를 벌일 조짐도 포착된다. 화물연대의 총파업이 윤석열 정부 집권 초 정부 기업과의 '힘겨루기' 차원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올해 임·단협도 업종을 불문하고 큰 갈등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중론이다.




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