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회, 203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 판매 금지 찬성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유럽연합(EU) 내 의결기관인 유럽의회에서 203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 판매를 금지하는 방안이 통과되면서 전기차 시장 확대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디젤 및 하이브리드 차량 등 일부 내연기관 차량은 남긴다는 수정안을 두고 논란이 있었지만,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 축소가 주요 과제로 떠오르면서 100% 금지가 합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유럽의회는 이날 2035년부터 내연기관 차량의 신규판매 중단 방안이 통과됐으며, 올해 말부터 회원국들과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따라 EU 회원국들 내에서는 2035년부터 가솔린 차량은 물론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 등 내연기관 차량은 모두 신차 판매가 금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앞서 일부 내연기관 차량의 존속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100% 금지를 찬성하는 방안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유럽의회 내 중도보수 정당으로 알려진 유럽인민당(EPP)을 중심으로 100% 금지보다는 90% 금지를 하는 수정안이 제기된 바 있다. EPP는 100% 금지시 기존 차량 생산업체 종사자들에 대한 고용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산업은 EU 회원국들의 국내총생산(GDP)에서 7%의 비중을 차지하고, 약 146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어 급격한 시장전환이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었다. 그러나 유럽의회 의원 다수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21% 이상을 차지하는 자동차 배기가스 감축에 속도를 높여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EU가 친환경정책 강화에 몰두하는 이유는 지구온난화 등 문제와 함께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 축소를 서두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달 EU집행위원회는 러시아산 화석연료 의존도를 빠르게 낮추기 위해 녹색경제 전환속도를 가속한다며 이른바 한 '리파워EU(REPowerEU)'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해당 정책에 따라 EU는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45%로 높이고, 3000억유로(약 404조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