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김현정 기자] 국제유가가 유럽연합(EU)의 러시아산 석유에 대한 부분 금수조치 합의와 중국의 봉쇄완화 발표 등에 힘입어 지난 3월 이후 또다시 배럴당 120달러선을 넘어섰다. 유럽의 대러제재 강화에 따른 공급위축과 중국의 수요 확대가 겹친데다 계절적으로 냉방수요가 높아지는 여름철이 다가오면서 국제 유가의 상승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
30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는 전일대비 1.88% 상승한 배럴당 121.67달러를 기록했다. 브렌트유가 120달러선을 넘어선 것은 지난 3월8일 이후 처음이다. 브렌트유와 함께 주요 국제유가 지표인 미국의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미국의 현충일인 메모리얼데이를 맞아 휴장했다.
이날 유가 상승을 주로 이끈 것은 EU의 러시아산 석유 부분 금수조치 합의 소식이었다. CNN에 따르면 EU는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EU 정상회담에서 유럽으로 수입되는 러시아산 석유 중 해상운송되는 석유에 대한 금수조치에 합의했다.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정상회의 직후 트위터를 통해 "이번 합의로 러시아산 원유 수입의 3분의 2를 금지할 수 있게 됐다"며 "러시아가 무기 비용을 대는 막대한 돈줄에 제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EU통계청인 유로스탯에 따르면 EU의 러시아산 석유 수입 중 해상운송을 통한 수입비중은 약 65%에 달한다. 다만 이번 부분 금수조치 합의에서 제재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나머지 35% 비중의 송유관 수입 석유는 종전대로 계속 수입이 유지된다.
EU가 송유관 제재 합의에 실패한 이유는 헝가리를 중심으로 한 동유럽 국가들의 반대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CNN에 따르면 헝가리는 전체 석유의 86%를 러시아와 연결된 송유관을 통해 수입한다. 체코(97%)와 슬로바키아(100%)는 헝가리보다 비중이 더 높다.
이날 정상회의에서 참석한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는 개최 직후부터 자국의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 상황을 언급하며 러시아산 석유의 완전 금수조치에 거세게 반대했다. EU는 부분 금수조치의 합의안이라도 도출하기 위해 송유관 제재에 대한 유예기간조차 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EU집행위원회가 향후 제재되는 러시아산 석유 비중을 높일 것이라 밝히면서 앞으로 제재조치가 점진적으로 강화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집행위원장은 트위터를 통해 "연말까지 러시아에서 EU로 수입되는 석유의 약 90%를 줄일 것"이라고 밝혀 향후 금수조치 확대를 시사했다.
주요 석유 소비국인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완화 발표와 경기부양책 발표도 유가 상승세를 더욱 부추겼다. 중국 상하이시는 전날 성명을 통해 다음달 1일 오전 0시부터 코로나19 고위험·중위험 구역 또는 통제·관리통제구역으로 지정된 곳을 제외하고 순차적으로 전면적 정상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난 3월28일 이후 2개월여만에 봉쇄조치가 해제된 것이다.
봉쇄조치 해제와 함께 상하이시는 50개의 지원책이 포함된 3000억위안(약 56조원) 상당의 경기부양책도 함께 발표했다. 해당 조치에 따라 중국의 경제수도인 상하이를 중심으로 석유 소비가 다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에너지투자전문기업인 오안다(Oanda)의 제프리 할리 수석 분석가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EU의 석유 금수조치에 따라 공급이 다시 위축될 상황에서 상하이의 봉쇄완화로 소비는 크게 늘 것"이라며 "국제유가가 지난 2월 우크라이나 전쟁 개전 초반 당시와 같은 급등 움직임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스탠다드 차터드의 폴 호스넬 상품 연구 책임자는 코로나19로 인해 중국의 석유 수요가 5월 하루 약 120만 배럴 감소했다고 진단했으며, 봉쇄 조치가 완화되면 대부분이 회복돼 하루 소비량이 1600만 배럴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했다. 이는 전 세계 일일 소비량(약 1억 배럴)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것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