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국경과 가까운 러시아 서부 브랸스크의 유류 저장시설에서 25일(현지시간) 화재로 인해 연기가 치솟고 있다. 러시아의 유럽행 송유관을 운영하는 트랜스네프트의 자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시설이다. 일부에서는 이번 단순 화재가 아니라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에 의한 폭발이란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화재가 석유 수송에 영향을 미칠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브랸스크(러시아)=AP·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조현의 기자] 러시아 외무장관이 미국과 서방을 겨냥해 3차대전 발발 가능성을 시사하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지원을 중단하라고 압박했다. 우크라이나가 서방이 지원한 무기로 반격에 나서고 러시아 본토에도 피해가 발생하자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25일(현지시간)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이날 러시아 국영방송인 채널1과의 인터뷰에서 "3차 세계대전의 위험은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으며 과소평가될 수 없다"며 "러시아는 핵전쟁 위협을 배제하고 싶지만,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와 미국이 계속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보내 대리전을 펼치며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러시아는 미국에 우크라이나 무기공급 중단을 공식요구했다. 아나톨리 안토노프 주미 러시아 대사는 이날 러시아 국영매체인 로시야24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에 우크라이나 무기공급 중단을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다"며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보낸다는 8억달러(약 9980억원) 상당 무기는 엄청난 규모로 이는 용납될 수 없으며, 외교적 해법을 찾고 상황을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줄 것"이라고 비난했다.
러시아가 이처럼 강도높게 미국과 서방의 우크라이나 무기지원을 비판하며 중단을 요구한 이유는 우크라이나군이 지원받은 무기로 거센 반격에 나서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타스통신에 따르면 이날 새벽 우크라이나 국경과 인접한 러시아 브랸스크시에서 대형 유류저장고 2곳에 화재가 발생했다. 러시아 매체 바자에 따르면 현지 수사관들은 해당 화재의 원인을 우크라이나의 미사일 공격이나 전투용 무인기(드론) 공격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우크라이나군은 앞서 지난 1일에도 접경지역인 러시아 벨고로드의 유류저장고를 헬기로 공격한 바 있다.
러시아의 강한 반발에도 미국과 서방의 우크라이나 군사지원은 계속 확대되고 있다. CNN에 따르면 이날 미 국무부는 성명을 통해 "우크라이나에 1억6500만달러 규모 탄약 판매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해당 탄약지원은 앞서 전날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이 함께 키이우를 방문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회담하는 동안 우크라이나측에 전달된 내용이라고 CNN은 전했다.
독일과 영국도 우크라이나에 장갑차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슈테펜 헤베슈트라이트 독일 정부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독일 정부는 군수업체 라인메탈이 우크라이나에 장갑차 100대를 수출하기 위해 낸 허가 신청에 대해 곧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벤 월러스 영국 국방장관도 이날 의회에 출석해 "우크라이나에 대공미사일 발사대를 장착한 스토머 장갑차를 보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러시아가 향후 확전 우려를 무릅쓰고 서방의 지원물자를 직접 공격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이날 서방의 주요 무기지원로로 쓰이고 있는 우크라이나 서부와 중부지역의 주요 5개 철도역을 탄도미사일로 공격했다. 한편에선 이번 공격이 불링컨 국무장관과 오스틴 국방장관을 노린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두 장관은 철도를 통해 우크라이나를 극비 방문했다.
미 해군분석연구센터(CNA)의 러시아 전문가인 드미트리 고렌버그 연구원은 폴리티코와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지원이 장갑차나 중포 같은 중화기로 바뀌면서 철도 수송이 많아졌다"며 "러시아가 아직까지는 서방의 지원물자를 직접 공격하진 않고 있지만, 교착상태가 심화되면 확전 우려에도 공격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중립국이었던 스웨덴과 핀란드는 이르면 내달 중순 나토에 동시에 가입을 신청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가디언은 핀란드 일간 일타레흐티를 인용해 "스웨덴 정부는 이날 핀란드에 한날 동시에 나토 가입을 신청하자고 제의했고 핀란도 정부도 그에 동의했다"고 보도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