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장수 기재장관' 홍남기 "가장 힘든 순간은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美 워싱턴DC 동행기자단 인터뷰…퇴임 앞두고 소회 털어놔
"소부장 대책 기억에 남고, 부동산 안정화 못해 아쉬워"
후배들에겐 "근본은 학연·지연 아닌 자기 열정과 성실함이 쌓은 평판"

'역대 최장수 기재장관' 홍남기 "가장 힘든 순간은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워싱턴(미국)=권해영 기자] '임기 3년 5개월 역대 최장수 기획재정부 장관, 추가경정예산(추경) 7번 포함 예산만 11번 편성, 전대 미문의 코로나19 팬데믹 수습'.


문재인 정부 2기 경제 컨트롤타워인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쓴 기록들이다. 2018년 12월 취임 후 1년여 만에 코로나가 발생하자 정부 지출을 대폭 확대, 위기 수습을 위한 '코로나 소방수'로 나선 동시에 급속도로 악화되는 재정 건전성을 회복하려는 '나라 곳간지기'까지 상반된 역할을 소화해야 했다. 한국 경제 사령탑으로서 그 어느 때보다 어둡고 긴 터널을 지나온 홍 부총리는 다음달 10일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부총리 임기를 마친다. 지난 17~22일(현지시간)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회의 참석 등을 위해 미국 워싱턴DC와 뉴욕을 방문한 홍 부총리는 여러 차례에 걸친 동행기자단과의 만남에서 3년 반의 부총리 임기, 37년의 공직생활을 마무리하는 소회를 털어놨다. 워싱턴DC는 홍 부총리가 2007~2010년 재정경제관으로 근무한 곳으로, 홍 부총리는 사실상 마지막 출장을 재경관 시절 3년을 보낸 워싱턴에서 마무리하게 됐다.

"부총리를 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순간은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반대로 공격받았던 일이었습니다."


홍 부총리는 워싱턴DC에서 열린 G20 취재를 위한 동행기자단과의 인터뷰에서 "임기 3년 반 중 2년 반이 코로나 시기였는데 위기를 맞아 극복하고 경제를 회복하려고 한 것이 기억에 남는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정치권의 주장에) 내가 입을 닫고 있으면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이 기정사실이 돼 즉시 반대했다"며 "재정은 화수분이 아니다. 자리에서 물러나야겠다는 생각까지 했다"고 털어놨다.


홍 부총리는 코로나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재정 지출 방식을 놓고 매번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갈등을 겪어 왔다. 전국민 대상 보편 지원을 주장하는 여당에 현금성 지원 축소, 선별 지원 등으로 맞섰기 때문이다.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해 2월 국회 연설을 통해 4차 재난지원금 전국민 지급을 발표했을 땐 페이스북을 통해 즉각 반대 입장을 밝혔다. "정말 나쁜 사람", "정치를 하고 있다" 등의 원색적인 비난은 물론 '홍남기 경질론'까지 여권에서 쏟아졌다.

그는 "정치권이 하라는 대로 하면 재정과 국가가 저 산에 올라갈지도 모를 일"이라며 "재정은 어쩔 수 없다. 다시 돌아가도 또 욕을 먹으면서 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3년 반 임기 동안 가장 기억에 남는 일로는 코로나 위기 극복과 함께 소재·부품·장비 대책, 한국판 뉴딜 등 세 가지를 꼽았다.


그는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 그린 경제로 가는 과정의 프로젝트"라며 "새 정부에서 이름을 바꾸고, 미세조정 할 순 있지만 구조조정의 대상이 될 순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2019년 7월 일본의 수출규제 이후 수립한 소부장 대책에도 큰 애착을 드러냈다. 홍 부총리는 "사무관 초년기인 1986~1987년 소부장이 핵심 원인인 대일 무역역조 개선 대책을 세우느라 밤을 꼬박 새웠는데 한 세대가 지나 장관이 돼 다시 그 대책을 만든 것"이라며 "앞으로 한 세대 뒤엔 우리 후배들이 다시는 이런 일을 하지 않도록 예산실 반대에도 고집을 피워 소부장 특별회계를 신설했다"고 말했다. 그 결과 소부장 경쟁력 제고에 2020년 2조1000억원, 2021년 2조6000억원 규모의 정부 예산이 투입됐다.


문 정부 2기 경제 사령탑인 만큼 공공 부문 중심의 고용, 민간 활력 저하, 부동산 가격 급등 등 시장에서 나오는 부정적인 평가와 관련해 홍 부총리 역시 그 책임에선 자유로울 수 없다.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 홍 부총리는 "가격이 이렇게 올라가는 것에 대해 조금 더 시간이 있어 상당폭으로 하향 안정세를 시키고 나갔으면 좋았을 것"이라며 임기 중 가장 아쉬운 점 중 하나로 꼽았다.


재정준칙 법안과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서발법)을 통과시키지 못한 것도 아쉬운 부분으로 지적했다. 그는 "코로나 위기 극복 과정에서 재정지출은 불가피했지만 앞으로 재정 정상화 과정에서 재정 긴축이 꼭 필요하다"며 1년 반 동안 국회에서 잠자고 있는 재정준칙이 새 정부에선 꼭 법제화 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우리나라 국가채무는 1075조7000억원,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은 50.1%로 현 정부 출범 첫해인 2017년 36%에서 14.1%포인트나 늘어났다. 재정 건정성 회복이 시급한 상황이다. 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해 재정·세제·금융 지원 방침을 담은 서발법과 관련해선 "2012년 정책조정국장 시절 법안을 처음 발의했는데 부총리가 된 지금까지도 11년째 입법이 안됐다"며 "다음 정부에선 꼭 입법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역대 최장수 기재장관' 홍남기 "가장 힘든 순간은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원본보기 아이콘


홍 부총리는 역대 기재부 장관 중 정치권의 포퓰리즘 압박에 가장 많이 시달린 장관이다. '홍백기', '홍두사미' 등 홍 부총리를 따라다니는 수식어가 보여주듯 정치권 특히 여당의 목소리는 홍 부총리 재임 기간 중 역대 어느 국회보다 컸다. 정책 입안자 입장에선 그만큼 정책을 펼 여력이 줄어들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당정 관계 불균형으로 정부의 어려움이 크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홍 부총리는 "입법을 통해 정책이 완결되는 경우가 많아 당정 관계에서 당의 보이스, 파워가 무척 세졌다"며 "입법 내용에 대해 행정부가 정책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것 같다는 의견을 가질 수 있는데 이와 관계없이 입법을 추진하면 정책이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 점에서 보면 정당의 보이스가 굉장히 커졌고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더 커졌다"며 "그러면서 정치권하고 많이 부딪힐 수밖에 없었다"고 돌아봤다.

홍 부총리는 다음달 새 정부가 출범하면 37년의 공직생활을 마무리한다. 퇴임 후 계획과 관련해선 "섬을 좋아해 우리나라 큰 섬은 다 가보고 싶다"며 "이제 자연인으로 돌아간다"고 홀가분하게 말했다.


마지막으로 후배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을 묻는 질문에 홍 부총리는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국과장 자리와는 달리 소외된 자리, 아무도 쳐다보지 않을 것 같은 자리라도 자기 평가는 다 쌓인다"며 "어느 자리에 있든 주어진 업무를 열심히 하면 그 평판이 쌓여 올라간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근본은 학연도, 지연도 아닌 자기 열정과 성실함이 쌓여진 평판"이라며 "공무원은 그렇게 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워싱턴(미국)=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