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매년 4월11일은 파킨슨병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자 제정된 ‘세계 파킨슨병의 날’이다. 영국 의사 제임스 파킨슨이 1817년 학계에 최초로 병을 보고한 것을 기념해 그의 생일인 4월11일을 세계 파킨슨병의 날로 정했다.
파킨슨병은 3대 노인성 뇌질환 중 하나이자 치매 다음으로 흔한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이다. 고령화 사회가 본격화되면서 발병도 꾸준히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파킨슨병 환자는 2017년 10만명에서 지난해 11만 7천 명으로 5년간 환자가 약 16% 증가했다.
파킨슨병은 뇌의 도파민성 신경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신경세포의 소실로 발생하는 퇴행성 뇌질환이다. 단순히 떨리거나 잘 걷지 못하는 질환으로만 인식돼왔지만 실제로는 매우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안정된 자세에서 신체의 일부가 떨리는 증상인 떨림, 몸의 움직임이 느려지는 서동, 근육이 굳어지는 경직, 다리를 끌면서 걷게 되는 보행장애, 자세가 구부정해지면서 쉽게 넘어지는 자세 불안정 등과 같은 운동 증상이 환자마다 다른 조합으로 나타난다.
운동 증상 외에도 다양한 비운동 증상들이 나타난다. 치매, 불안, 우울, 환시, 수면장애(불면증, 잠꼬대), 빈뇨, 변비, 피로, 자율신경장애(기립성저혈압, 성기능장애, 땀분비이상) 등으로 뚜렷이 나타나지 않지만 환자들과 가족을 더 힘들게 하곤 한다.
정선주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는 "파킨슨병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느껴지거나 지적을 받는다면 파킨슨병을 전문으로 하는 신경과 의사의 진료를 빨리 받는 것이 현명하다"며 "적절한 약물치료, 수술을 받는다면 직장생활이나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없을 정도로 호전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파킨슨병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더디게 할 수 있는 치료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파킨슨병 진단 후에는 뇌에서 부족한 도파민을 대신할 수 있는 다양한 약물로 치료하거나 수술을 하는 방법 뿐이다. 다만 파킨슨병은 퇴행성 뇌질환 중 유일하게 약물치료에 의해 증상이 눈에 띄게 호전되는 질환이다. 담당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의 용량과 용법을 철저하게 지켜 복용한다면 일어나지 못하는 환자가 걸을 수 있게 되고, 잘 걷지 못하는 환자가 뛸 수 있게 된다.
오랜 약물치료로 약물에 대한 효과가 감소되고 후기 운동 합병증이 심할 경우에는 뇌심부자극 수술을 시행한다. 뇌심부자극술은 기계를 피하조직에 장착해 뇌의 깊숙한 곳에 위치한 담창구나 시상하핵에 전기자극을 줌으로써 운동 증상을 개선시키는 치료법이다. 뇌심부자극술도 뇌수술인만큼 수술을 받을 수 있을 만큼 건강상태가 좋아야 하고 너무 고령이면 할 수 없기 때문에 보통 75세 이전에 시행한다. 뇌심부자극술은 파킨슨병 운동 증상과 운동 합병증을 75% 정도 향상시키기 때문에 적절한 환자가 안전하게 수술을 받을 경우 삶의 질이 많이 호전될 수 있다.
일상적 관리를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과 적절한 식단, 수면환경 개선 등이 필요하다. 몸의 근육들이 경직되고 근육의 움직임이 느려지며, 자세가 구부정해지기 때문에 스트레칭 체조와 유산소 운동을 매일 1~2시간 하는 것이 매우 도움된다. 근력 운동을 같이 하면 더 큰 효과가 기대된다.
또 피곤하고 힘이 빠지고 기운이 없는 증상이 특징이기 때문에 영양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뇌에 좋은 비타민 C, E가 많이 포함된 사과, 딸기, 귤, 오렌지, 키위 등 과일과 양배추, 브로콜리, 녹색 채소 등을 많이 먹어야 한다. 견과류도 적절하게 먹는 것이 좋다. 단백질 섭취를 위해 기름을 제거한 양질의 닭가슴살이나 쇠고기 등도 적절하게 섭취하는 것이 좋다.
파킨슨병 환자를 괴롭히는 대표적인 증상인 수면장애 개선을 위해서는 수면 환경 개선도 필요하다. 불면증 해결을 위해서는 낮 동안 적당량의 햇빛을 쐬는 것이 좋고 수면 2~3시간 전이나 오후 8시 이후에는 TV시청이나 휴대폰, 인터넷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저녁에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한 후 따뜻한 차를 한 잔하며, 독서나 조용한 클래식 음악을 청취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
렘수면장애는 많은 파킨슨병 환자와 배우자가 괴로워하는 증상이다. 잠을 자면서 혼자 중얼거리거나 고함을 지르기도 하며 헛손질을 하면서 옆에서 자는 배우자를 팔이나 다리로 때리기도 한다. 심한 환자는 자다가 일어나 속옷 차림으로 집 밖을 배회하며 남의 집 초인종을 누르기도 한다. 이런 현상은 파킨슨병으로 인해 뇌의 여러 가지 신경세포의 소실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인만큼 심할 경우 담당 의사와 자세히 상담한 후 약물 복용이 필요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