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황수미 기자] 일본의 역사 왜곡이 갈수록 심해지는 가운데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가 이를 막기 위한 글로벌 캠페인에 나섰다.
9일 반크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내년부터 일본 고등학교 2학년 이상 학생이 사용할 교과서에 왜곡된 역사 내용이 가득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일본 문부과학성은 지난달 29일 열린 교과서 검정심의회에서 239종의 교과서가 검정 심사를 통과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연합뉴스에 따르면 일부 역사 분야 교과서에서 일제강점기 조선인 노동자를 '강제 연행'했다는 표현이 검정 과정에서 삭제되거나 수정됐다.
독도에 대해서는 일본 고유의 영토라거나 한국이 불법으로 점거하고 있다는 표현을 사용했다. 이는 일본 정부의 부당한 독도 영유권 주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1993년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공식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담화에 등장하는 종군 위안부 표현도 사라졌다.
이와 관련해 반크는 "일본 청소년들의 역사관과 세계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교과서에서도 침략 역사를 부정하고, 거짓말을 사실로 가르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일본의 역사 왜곡을 국제사회에 고발하는 포스터를 제작해 공개했다. '학생을 군인으로, 학교를 군대로 만드는 일본 교과서 역사 왜곡, 우리가 막아야 합니다'라는 제목의 포스터에는 고등학교 교실을 배경으로 욱일기 깃발을 든 군인이 등장한다.
이는 고등학교 교실에서 침략 역사를 왜곡한 교과서를 보는 일본 청소년들이 이웃 나라를 침략하는 군인이 될 수 있음을 경고하는 의미다.
포스터는 해외 사진 공유사이트에 올려져 있으며 누구나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다. 포스터 하단에는 세계인에게 일본 교과서 역사 왜곡이 아시아 평화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음을 알리는 글로벌 청원 주소(bridgeasia.net)가 담겼다.
반크는 "일본 정부가 교과서를 통해 학교와 청소년을 군대와 군인으로 둔갑시켜 제국주의 침략 역사를 21세기에 부활시키려 한다"며 "일본의 역사 왜곡을 국제사회에 알려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일본의 역사 왜곡 경향은 갈수록 심화하는 모양새다. 앞서 일본 정부는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동원 현장인 사도광산을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주장하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려 했다.
지난달 28일에는 일본 외무성이 욱일기를 광고하는 영상을 만들어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린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일기도 했다. 지난해 10월 공개된 이 영상에는 일본이 2차 세계대전과 태평양 전쟁 당시 사용한 욱일기가 '일본 문화의 일부이자 번영과 활력의 상징', '수백년에 걸쳐 내려온 전통문화'라고 표현됐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