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 늘리고 자사주 사들이고…주주정책 강화하는 은행들

분기·중간 배당 도입 및 자사주 매입·소각 이어져

배당 늘리고 자사주 사들이고…주주정책 강화하는 은행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은행들이 주주친화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분기·중간배당 제도를 정착시키는 한편 자기주식 매입 및 소각도 병행하는 모습이다.


27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본격화된 분기·중간배당이 올해 들어 정관 변경 등으로 은행들 사이에서 정례적인 제도로 정착되는 모습이다. 앞서 지난해 신한금융지주가 분기배당을 실시한 데 이어 KB금융 지주, 하나금융지주 , 우리금융지주 가 중간배당을 실시한 바 있다.

우선 KB금융지주는 1분기 배당 권리주주 확정 기준일을 이달 31일로 공시했다.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과 재무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추후 이사회에서 결정할 예정이지만 배당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분기배당을 먼저 도입한 신한지주 도 1분기 배당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금융의 경우 비정기적(사업연도 중 1회에 한해 일정한 날)이었던 중간배당을 기준일(6월30일)을 명시하도록 정관을 변경했다. 중간배당이 정기적 제도화가 되는 단계라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장기간 중간배당을 해오던 하나금융지주도 타 금융지주에 발맞춰 분기배당 도입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더해 자사주 매입 및 소각도 병행되고 있다. 신한지주 는 15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 장내 매입 및 소각을 발표했다. 기간은 지난 25일부터 오는 6월2일까지다. 소각 기준 주가는 3만9700원이며 예정 주식수는 377만8000주다. 보통주 0.73%에 해당하는 규모다. KB금융도 지난달 자기주식 1500억원어치(보통주의 0.83%)를 소각했다.

시가총액 대비 큰 규모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시행 자체만으로도 높이 평가할 만한 주주친화정책이라는 반응이 나온다. 김은갑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자기주식 매입 및 소각은 단기적 주가변화로 연결되기 보단 지속적으로 추진되면서 장기적으로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며 "배당이나 자기주식 매입 등 주주친화정책이 은행 간 경쟁적으로 진행되는 점도 고무적"이라고 설명했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