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중대재해 발생명단 공표 3년간 정부포상 제외, CEO 안전교육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세종=아시아경제 문채석 기자] 지난해 중대재해와 사망재해가 발생했거나 산업재해 사고를 숨기거나 규정보다 보고를 늦게 한 '산재불량' 사업장이 1243곳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설업 중 시공능력 100위 안에 드는 기업 중
GS건설
GS건설
0063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0,600
전일대비
50
등락률
+0.24%
거래량
247,559
전일가
20,550
2025.07.18 15:30 기준
관련기사
[클릭 e종목] 최대 1000억 손실 우려에도…실적 선방 GS건설 강남구, 5개 대형 건설사와 'G.G.G.' 협약…소음·먼지 절감 "공사 끝내고 돈 떼일 걱정 던다…하도급법 개정안, 연쇄부도 방패"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 롯데건설,
태영건설
태영건설
00941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755
전일대비
10
등락률
+0.36%
거래량
46,259
전일가
2,745
2025.07.18 15:30 기준
관련기사
"50%라도 버틸 힘 생겼다"…건설·부동산업계, 정부 미분양 매입에 숨통 "공사 끝내고 돈 떼일 걱정 던다…하도급법 개정안, 연쇄부도 방패" [특징주]한덕수 대선 출마 선언 임박…일정실업·태영그룹 급등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등은 4년 연속 위반 사업장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고용노동부가 29일 발표한 '사망재해 발생 등 예방조치의무 위반사업장 명단 공표' 자료에 따르면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지난해 중대재해 발생 등 산재 예방조치의무 위반 사업장은 1243곳이었다. 이 명단에 든 사업장은 2017년 748곳, 2018년 1400곳, 2019년 1420곳, 지난해 1446곳이었다가 올해 소폭 줄었다. 사고 시점은 몇 년 전이었어도 법원 재판 등을 통해 올해 형이 확정된 기업이라면 올해 공표 명단에 포함한다.
안경덕 고용부 장관은 "산안법에 따라 공표 대상이 된 사업장과 임원에 대해 향후 3년간 각종 정부포상을 제한하고 관할 지방고용노동청이 최고경영자(CEO)의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년 1월27일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됨에 따라 중대산재가 발생하는 것만으로도 CEO는 안전보건교육 의무 대상자로 간주된다"며 "기업들은 그동안 정부가 배포한 가이드북과 업종별 안전보건 자율점검표를 활용해 다시 한번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점검하고, 현장에 안전문화가 정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주기 바란다"고 강력히 당부했다.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은 576개소였고, 대표적으로 GS건설, 롯데건설,
동부건설
동부건설
0059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5,530
전일대비
10
등락률
-0.18%
거래량
20,408
전일가
5,540
2025.07.18 15:30 기준
관련기사
"50%라도 버틸 힘 생겼다"…건설·부동산업계, 정부 미분양 매입에 숨통 집값 잡을까 민심 잡을까…SOC로 경기 잡을까 [건설위기 속 대선] 국토부, 해외건설 1조달러 돌파 및 60주년 행사 개최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
삼성물산
삼성물산
0282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74,400
전일대비
10,000
등락률
-5.42%
거래량
698,587
전일가
184,400
2025.07.18 15:30 기준
관련기사
삼성물산, 삼성전자 평택공사 수주…1조4630억원 규모 3500억 쓸어담은 외국인…코스피, 46개월만에 3200선 마감 코스피, 장초반 3190선 등락…보험·유통·화장품株 상승세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
금호타이어
금호타이어
0732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4,750
전일대비
15
등락률
-0.31%
거래량
556,992
전일가
4,765
2025.07.18 15:30 기준
관련기사
금호타이어, 2025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발간 [특징주]'화재' 금호타이어↓ vs. 한국·넥센 강세 [클릭 e종목]"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로 매출 9%↓"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
효성중공업
효성중공업
29804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058,000
전일대비
0
등락률
0.00%
거래량
81,687
전일가
1,058,000
2025.07.18 15:30 기준
관련기사
"MSCI 8월변경서 HD현대마린 등 5개 종목 편입" "한화에어로 제쳤다"…효성중공업 4대 황제주 등극 [클릭 e종목]"효성중공업, 2분기 실적 기대치 부합 예상"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등이었다. 건설업(339개소·58.9%)이 절반 이상이었고 근로자 50인 미만 사업장(484개소·84%)이 대다수였다. 중대재해는 근로자 1명이라도 일하다 사망했거나, 2명 이상이 전치 3개월 이상의 중상을 입거나, 부상자·직업성 질병자가 한 번에 10명 이상 발생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산재 때문에 연간 사망자가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은 17개소였다.
한화
한화
00088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92,400
전일대비
600
등락률
-0.65%
거래량
213,587
전일가
93,000
2025.07.18 15:30 기준
관련기사
미국 땅 접수한 K조선…"매년 배 10척씩 만들 것" 죽어가던 美조선업에 불 지폈다 [르포] 빙수·이온음료·쉼터버스까지…건설사들 '폭염 대응 총력전' 한화우선주 보통주 전환 요구에 보통주주들 반발…"형평성 문제"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대전사업장(2018년 5명 사망), 대림건설(2017년 3명 사망),
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0006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69,000
전일대비
500
등락률
-0.19%
거래량
5,359,504
전일가
269,500
2025.07.18 15:30 기준
관련기사
[마켓 ING]코스피 쉬는 사이 뛰는 코스닥 "코스피 너무 달렸나"… 파킹형 상품으로 '머니무브' 코스피, 외인·기관 순매수 전환에 3200선 회복 '눈앞'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2015년 3명 사망),
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03422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9,210
전일대비
0
등락률
0.00%
거래량
885,944
전일가
9,210
2025.07.18 15:30 기준
관련기사
LGD, OLED 신기술에 1.2조 투자…새 정부 국내 투자 1호 LG디스플레이, 청색 인광 적용한 OLED 패널 제품화 검증 세계 최초 성공 [클릭 e종목]"LG디스플레이, 3년 만의 1분기 흑자"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파주사업장(2015년 3명 사망) 등이었다. 산재 사실을 은폐했다가 적발된 사업장은 동남정밀, 에스티엠, 동우테크 등 23개소였다. 산재 발생 후 1개월 안에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신고하지 않아 과태료 처분을 받은 사업장은 59개소로
삼성전자
삼성전자
0059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67,100
전일대비
400
등락률
+0.60%
거래량
23,951,531
전일가
66,700
2025.07.18 15:30 기준
관련기사
코스피, 외인·기관 순매수 전환에 3200선 회복 '눈앞' 서울대생 '문전성시'에 깜짝…"韓대기업은 건너뛸래요" "판교 카페선 헤드헌터들 명함 돌리더라"…'많아야 1억' 받는 한국인에 러브콜[빅테크에 뺏기는 AI인재②]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광주사업장, 한국GM 창원공장 등이었다. 화재·폭발 등 중대산업사고가 발생한 사업장은 한화 대전사업장(2018년 5명 사망), SH에너지화학(2020년 2명 사망·1명 부상) 등 11개소였다.
산안법 63조에 명시된 수급인(하청)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조치 의무를 어긴 도급인(원청) 337개소는 SK에코플랜트, 호반산업,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전일대비
0
등락률
0.00%
거래량
전일가
2025.07.21 15:30 기준
관련기사
코스피, 외인·기관 순매수 전환에 3200선 회복 '눈앞' 서울대생 '문전성시'에 깜짝…"韓대기업은 건너뛸래요" "판교 카페선 헤드헌터들 명함 돌리더라"…'많아야 1억' 받는 한국인에 러브콜[빅테크에 뺏기는 AI인재②]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동해공장 등이었다.
동국홀딩스
동국홀딩스
0012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8,710
전일대비
160
등락률
-1.80%
거래량
85,829
전일가
8,870
2025.07.18 15:30 기준
관련기사
신고가 행진 지주사…옥석 가리기는 어떻게 장세욱 동국홀딩스 부회장, 현장서 새해 업무 개시…운영 안정화 당부 재계 뱀띠 CEO 누가 있나…65년생이 주류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부산공장은 하청 근로자의 사망 비중이 큰 원청이라는 불명예를 썼다. 2018년부터 시행 중인 '원·하청 산재 통합관리제도'에 따라 제조·철도운송·도시철도운송업 500인 이상 사업장 중 원·하청을 합친 사고사망만인율이 원청만 따진 수치보다 높은 사업장은 '산재불량 사업장'으로 간주된다. 사고사망만인율은 상시근로자 1만 명당 사고사망자 수 비율을 의미한다.
세종=문채석 기자 chaes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