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류태민 기자] 서울 시내 대표적인 개발 가능지로 꼽히는 준공업지역의 토지 거래량이 급감하고 있다. 정부가 지난해부터 두 차례 정책을 통해 준공업지역 개발계획을 밝히면서 소유주들이 매물을 거둬들이는데다 토지가격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가격 부담을 느낀 매수세가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23일 한국부동산원 전국주택가격조사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시 준공업지역의 토지거래량은 1234필지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1월 거래량인 1921필지보다 687필지(35.7%) 줄어든 수치다.
이 같은 준공업지역 토지의 거래량 감소는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다. 정부가 지난해부터 준공업지역 개발계획을 내놓으면서 서울지역 내 준공업지역에 대한 재개발 기대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정부는 지난해 5·6대책으로 준공업지역 순환정비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올 들어서는 2·4대책의 일환으로 공공주택복합 개발사업과 소규모 재개발을 통해 준공업지역 개발 방침을 내놨다. 서울시 전체면적의 3.3%에 해당하는 준공업지역의 유휴부지를 산업과 주거환경이 결합된 거점산업시설로 재정비하겠다는 취지다.
실제로 지난달 성동구 성수동2가 일대 57만8619㎡는 정보통신(ICT), 연구개발(R&D) 특화 거점으로 개발하는 지구단위계획이 확정됐다. 해당 일대는 준공업지역으로 최대 용적률 560%를 적용받아 고층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다.
다른 용도지역에 비해 서울시내 준공업지역의 땅값이 가파르게 오른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9월 서울 준공업지역의 지가는 0.49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년 전인 지난해 9월(0.384%)보다 0.125% 증가한 셈이다. 특히 준공업지역 지가상승률은 지난해 12월부터는 주거지역을 웃돌고 있다.
여경희 부동산114 수석연구원은 “준공업지역은 서울시내에서 개발이 가능한 얼마 남지 않은 택지라 희소성이 크다”면서 “최근에 재개발이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토지소유주들이 매물을 거둬들이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여 연구원은 이어 “최근에 해당 토지가격이 크게 오르자 매수를 희망하는 수요자들이 가격 부담을 느끼면서 매수세가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라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