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 지난해 3분기 이후 꾸준히 나아지던 경기회복 기대감이 꺾였다. 원자재 가격이 오른데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회복세에 찬물을 끼얹을 것으로 내다본 곳이 많기 때문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업체 2300여곳을 대상으로 조사해 28일 발표한 4분기 경기전망지수(BSI)를 보면, 91로 직전 2분기(103)에 비해 12포인트 빠졌다. 지난해 3분기 55로 바닥을 찍은 후 꾸준히 오르던 BSI는 올해 3분기를 앞둔 상황에서는 100을 넘기기도 했다. 4분기 연속 오르다 꺾이면서 다시 100 아래로 떨어졌다. BSI는 100을 기준으로 그보다 높으면 긍정적으로, 낮으면 부정적으로 보는 곳이 더 많다는 뜻이다.
상의 관계자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내수회복에 제동이 걸렸다"며 "급격히 위축됐던 글로벌 원자재 수요가 다시 살아나고 있으나 물류차질, 생산량 감소 등으로 공급이 원활치 못해 원자재 가격이 계속 오르는 것도 큰 부담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수출기업의 4분기 전망지수는 94로 18포인트 떨어졌다. 내수부문은 90으로 11포인트 빠졌다. 업종별로는 정유·석화(82), 조선·부품(87), 자동차·부품(90)이 낮았고 의료정밀(110), 화장품(103)은 높았다. 지역별로는 광주가 109로 가장 높았고 강원(79), 부산(80)이 낮은 편이었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로는 3.5% 미만이라고 답한 곳이 43%로 가장 많았다. 3.5~4.0%로 41.1%에 달했다. 한국은행이나 정부가 4%대 성장을 내다봤으나 이번 설문에 응답한 기업 10곳 가운데 8곳 이상은 4% 달성이 어렵다고 본 것이다.
기업경영에 영향을 끼칠 위험요인으로는 내수침체가 69%로 가장 많았고 환율·원자재가 변동성(67%), 금리인상 기조(27%), 자금조달 여건악화(14%) 등이 뒤를 이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코로나 재확산 영향으로 경기회복세가 한 분기만에 발목을 잡힌 상황"이라며 "취약한 내수부문에 대한 선제적 지원과 함께 기업투자 촉진, 원자재 수급·수출 애로 해소 등에 정책역량을 모아야할 때"라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