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영·유아 가정 ‘월 30만원’ 양육지원

허태정 대전시장이 14일 대전시청에서 내년부터 시행될 ‘대전형 양육 기본수당’ 정책 추진방향을 소개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허태정 대전시장이 14일 대전시청에서 내년부터 시행될 ‘대전형 양육 기본수당’ 정책 추진방향을 소개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내년부터 대전지역 영·유아 가정에 월별 30만원이 지원된다. 대상은 생후 36개월까지의 영·유아 가정으로 부모가 6개월 이상 대전에 거주했을 때 지원받을 수 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14일 정례브리핑에서 이 같은 내용의 ‘대전형 양육 기본수당’ 정책을 발표했다.

양육 기본수당은 출생연도, 부모 소득수준, 첫째·둘째·셋째 구분 없이 지원된다. 이를 통해 한 아이가 출생해 3년 이상 대전에 계속 거주할 경우에는 총 108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여기에 정부가 지급하는 첫 만남 이용권, 영아수당, 아동수당 등을 더하면 출생 시 200만원과 함께 월별 70만원을 받게 돼 초기 양육부담도 그만큼 줄어들 것으로 시는 내다본다.


시는 양육 기본수당 시행 후 1년간의 성과를 분석해 셋째 아이 이상의 자녀에 한해 지원기간을 5년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다만 양육 기본수당 지원 대신 기존에 출산 장려지원금과 셋째 아이 이상 양육 지원금 지급은 내년부터 폐지한다.


시는 지역 내 아이 돌봄체계 확충에도 나선다. 국공립어린이집과 0세 전용 어린이집, 거좀온돌방, 장난감도서관 등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아이돌봄 광역지원센터를 내년 신규 설치해 아이 돌봄 전문성 강화와 돌봄체계 통합관리를 도모하겠다는 것이다.


또 돌봄 종사자 처우 개선을 위한 어린이집 보육교사 마음 건강지원 수당, 어린이집 장애아 돌봄 인력 지원, 어린이집 대체조리원 파견, 소규모 복지시설 종사자 호봉제 도입도 추진한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인구문제는 장기적으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이라며 “시는 지역의 인구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대전, 사람이 모여드는 살기 좋은 대전’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는 2023년부터 대전이 인구 순유출 도시라는 오명을 벗고 인구유입도시로 탈바꿈하는 것을 목표로 청년의 일자리와 주거 안정, 결혼·출산과 자녀 돌봄·교육, 성장한 자녀의 일자리 안정 및 지역 내 정착이 순환구조로 확립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은 2014년 150만명대에서 현재의 145만명대까지 해마다 총 인구 수가 줄어든 실정이다. 지역 내 출생아 수도 2012년 1.5만명에서 지난해는 7500명 안팎으로 절반까지 줄었다.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