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웅 "고발사주 의혹, 오래된 일이고 총선 직전이라 신경 못 써 기억 없어"

"고발 사주 관여했다면 고발 이뤄졌을 것"
"실체가 전혀 없어"

김웅 국민의힘 의원 [이미지출처=연합뉴스]

김웅 국민의힘 의원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아시아경제 나주석 기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국민의힘에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열린민주당 최강욱 대표 등 고발을 의뢰했다는 ‘고발 사주’ 의혹과 관련해 김웅 국민의힘 의원이 "실체가 전혀 없다"고 해명했다.


6일 김 의원실은 입장문을 통해 "지난 입장 발표 때 밝혔듯, 저는 저에게 들어온 제보와 자료들은 대부분 당에 전달했다"면서 " 다만 본건 고발장 등을 실제로 전달받았는지, 누구에게 전달받았는지, 전달받았다면 이를 당에 전달하였는지는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해명했다.

그는 "오래된 일이라 기억이 없고, 만약 전달받았다고 가정하더라도, 보도 내용에 따르면 총선이 임박한 상황인데 이를 신경 쓰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판단된다"며 " 검찰 측에서 작성된 문건이라면 검찰에서 밝힐 일이고, 본건 자료가 진실한지 여부와 제보 목적은 제보자 측에서 밝힐 문제"라고 주장했다.


일부 언론 보도 등에 따르면 윤 전 총장 측근인 손준성 검사는 지난해 총선 직전 당시 미래통합당 총선 후보였던 김 의원에게 야당에서 유 이사장 등을 고발해달라는 고발장을 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김 의원은 고발 사주 의혹의 진상을 규명할 핵심 인물로 꼽혀 왔다. 다만 김 의원은 '기억이 없다'는 입장을 그동안 밝힌 채 언론 접촉 등도 피하고 있다.


이어 "소위 ‘고발 사주’에 관여했다면 제가 고발을 요구했거나 실제 고발에 나섰어야 한다"면서 "저는 이 문제를 제기한 바 없고 실제로 고발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대화창이 사라진 것에 대해서도 "위법 여부와는 무관하게 제보자의 신원을 보호하기 위한 일상적인 일"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제보 자료를 전달했더라도, 그 자체로는 위법이 아니라는 입장도 밝혔다. 김 의원은 " 설사 제보 자료를 당에 전달했다고 하더라도, 제보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이를 당에 단순 전달하는 것은 위법한 행위가 아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자신이 잠적했다는 언론 보도 등에 관련해 "지나친 표현은 삼가해달라"며 "잠적한 바 없고 일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나주석 기자 gongg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