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재 정선도 반한 '포항 내연산 폭포' 명승 된다.

정선 `내연삼용추도`·`내연산폭포도` 등에 그려져
폭포·용소와 깎아지른 절벽 멋들어진 운치 자아내

겸재 정선도 반한 '포항 내연산 폭포' 명승 된다. 원본보기 아이콘


우리나라 명산·명승지에 주목한 겸재 정선(1676~1759)은 1733년부터 3년간 청하현감을 지내며 `내연삼용추도`, `내연산폭포도` 등의 작품을 남겼다. 하나같이 기암절벽과 운무가 가득한 진경산수화다. 실제 경치나 광경을 그렸으나 형사(形寫·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글로 쓰거나 베낌)보다 문인화의 요체인 `신사·사의·전신'의 묘사에 주안점을 뒀다.


바탕이 된 포항 내연산은 지금도 빼어난 절경으로 유명하다. 침식지형의 폭포·용소(폭포수 밑에 생기는 깊은 웅덩이)와 깎아지른 절벽, 깊게 조성된 계곡 등이 멋들어진 운치를 자아낸다. 계곡은 직선거리로 10㎞에 달한다. 주변에 굴참나무와 물푸레나무, 작살나무, 병꽃나무 등이 푸른 숲을 이룬다. 곳곳에 자리한 기암괴석 사이사이에도 부처손, 바위솔, 바위채송화 등이 자란다.

겸재 정선도 반한 '포항 내연산 폭포' 명승 된다. 원본보기 아이콘


문화재청은 이 일대(69만1013㎡)를 '포항 내연산 폭포(浦項 內延山 瀑布)'로 명명하고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 예고한다고 23일 전했다. 한 달간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 물이 맑고 깨끗해 청하골 또는 내연골로 불리는 지역이다. 폭포는 계곡 입구의 유서 깊은 사찰인 보경사를 지나면 만날 수 있다. 풍부한 폭포수가 크고 작은 용소로 시원한 감흥을 일으킨다.


겸재 정선도 반한 '포항 내연산 폭포' 명승 된다. 원본보기 아이콘


특히 가장 규모가 큰 연산폭포(내연폭포)는 여름철 우렁찬 물소리와 겨울철 얼음기둥으로 널리 알려졌다. 조선 중기 문인 서사원(1550~1615)은 '동유일록(東遊日錄)'에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만 길 하얀 절벽이 좌우에 옹위하며 서 있고 천 척 높이 폭포수가 날아 곧장 떨어져 내렸다. 아래에는 신령스런 못이 있어 깊이를 헤아릴 수 없었다. 연못가의 기이한 바위는 저절로 평평하게 되어 수십 명은 앉을 수 있을 것 같았다. 사다리로 올라보니 선계에 앉은듯하여 자기도 모르게 소리를 질렀다."


겸재 정선도 반한 '포항 내연산 폭포' 명승 된다. 원본보기 아이콘


문화재청은 "'신증동국여지승람'·'대동여지도'에 내연산과 삼용추로 기록되고, 정선의 '내연산폭포도'·'내연삼용추도', 황여일의 '유람록' 등에 폭포의 아름다움이 시·글·그림으로 묘사됐다"라며 "자연유산과 함께 살아온 조상의 생활 모습을 엿볼 수 있어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다"라고 평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