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중대사건', 방역 문제 아닌 '간부 기강' 문제가 본질

[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 북한이 지난달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언급한 '비상방역 중대 사건'은 코로나19 방역보다는 간부 기강문제와 관련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7일 ‘북한의 위기 징후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입구전략’ 제목의 연구원 온라인 시리즈에서 “이번 정치국 확대회의를 보도한 6월 30일자 노동신문 기사에서 ‘방역’은 3회에 그친 반면 ‘간부’는 무려 39회가 언급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중대사건의 원인으로 지목된 비상방역 문제는 거의 다뤄지지 않았으며 직무태만행위, 보신주의와 소극성, 인민생활안정과 경제건설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 과오 등 간부들의 무책임과 무능력이 집중 성토됐다”고 설명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조 위원은 “결국 중대사건의 본질은 비상방역이 아닌 간부 문제인 셈”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달 29일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는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고위 간부들의 무능을 질타하며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과 정치국 위원 등을 해임한 것과 관련해서는 추가 숙청 가능성을 제기한 바 있다.


아울러 비상방역 관련 정책 집행에서 책임 간부들의 '태공'(태업)으로 '중대사건'이 발생했다고 질타했다.

조 위원은 “이번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문제 인사들에 대해 '철저히 당적으로, 법적으로 검토 조사하고 해당한 대책'을 결정했다는 점에서 후속 문책 또는 숙청의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라며“비상방역문제를 빌미로 간부들에 대한 정책실패의 책임 전가 및 희생양 찾기 의도를 의심해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