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구은모 기자] 개인정보 손해배상 보험에 가입해야 하는 기업의 범위가 확대된다. 기업의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자의 구제 실효성을 높이고, 기업의 손해배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9일 제10회 전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개인정보 손해배상책임 보장제도 개선안’을 발표했다.
개인정보위는 ‘개인정보 손해배상책임 보장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고 제도 활성화를 위해 세 가지 방향으로 개선방안을 마련했다. 먼저 가입대상을 오프라인 사업자까지 확대해 매출액과 개인정보 보유 규모 등 가입기준을 상향하고 면제대상도 명확히 해 손해배상책임 보장제도의 실효성을 높여갈 예정이다. 아울러 업종과 기능별로 단체보험 가입과 관련 제도 홍보 강화를 통해 제도를 활성화할 예정이다. 또한 보험 미가입 업체에 대해선 먼저 시정명령을 지시하고, 이를 따르지 않을 경우 과태료를 부과해 보험 가입을 유인할 예정이다.
개인정보위는 예상치 못한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이용자의 피해 구제와 기업의 손해배상 부담 완화를 위해 전년도 매출액 5000만원 이상, 개인정보 저장·관리 이용자수 1000명 이상인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등이 의무적으로 보험·공제에 가입하거나 준비금을 적립하도록 2019년 6월부터 개인정보 손해배상책임 보장제도를 시행했다. 그러나 기업들의 제도에 대한 인지도와 보험 가입 유인 부족, 과잉 규제 논란 등으로 보험 가입률이 저조한 실정이다.
이러한 여건에서 현재 추진 중인 2차 개인정보 보호법 개정으로 손해배상책임보험 가입 대상이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등’에서 ‘개인정보처리자’로 확대될 예정이어서 제도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이다.
이번 개선안은 제도 운영상 문제점에 대한 전문가와 이해관계자 등의 다양하고 심도 있는 의견 수렴을 거쳤고, 지난 5월 ‘개인정보 손해배상책임 보장제도의 개선 방향’을 주제로 열린 제12회 ‘개인정보 톡톡릴레이’에서 논의된 내용이 추가 반영됐다.
송상훈 개인정보위 조사조정국장은 “개인정보에 대한 관심과 활용도가 커지면서 개인정보 유출 등의 위험과 함께 기업들의 손해배상 책임도 커지고 있다”며 “기업의 손해배상 책임 부담을 덜고 정보주체에 대해서도 충분한 배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전문가와 산업계의 의견을 충분히 들어 손해배상책임 보장제도를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