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영남취재본부 이상현 기자]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2주기 추도식이 23일 오전 11시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 대통령묘역에서 열렸다.
12주기 추모 행사는 ‘열두 번째 봄, 그리움이 자라 희망이 되었습니다’라는 제목으로 진행했다.
추도식에는 노 전 대통령 부인 권양숙 여사, 사위 곽상언 변호사 등 유족과 각계 주요 인사 등 70여명만 참석했다.
여권 대선주자와 정치인들도 참석 명단에 올랐다. 이낙연·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참석했고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빠졌다.
이 지사는 지난 6일 묘역 참배를 이날 방문으로 대신한다고 예고했었다.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와 윤호중 원내대표, 정의당 여영국 대표, 열린민주당 최강욱 대표, 김해가 지역구인 민홍철·김정호 의원 등 범여권 정치인들이 참석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야권 정치인도 추도식에 참석했다. 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이 방문했다.
정부와 지자체, 교육계에서는 여권단체장과 친여성향 기관장이 주로 참석했다. 김부겸 국무총리, 이철희 정무수석, 김경수 경남도지사, 박남춘 인천시장, 허태정 대전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양승조 충남도지사, 김영록 전남도지사,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 허성곤 김해시장 등이 모습을 보였다.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비롯해 참여정부 시절 노 전 대통령과 친분이 깊은 이해찬 전 총리, 김두관·추미애 전 장관도 자리했다.
코로나19 방역 수칙에 따라 참석자들은 간격을 두고 의자에 앉았고, 인사는 가볍게 부딪치는 주먹인사로 대신했다.
추도식은 국민의례와 묵념, 대표 헌화 및 묵념, 김부겸 총리의 추도사, 12주기 주제 추모영상 상영, 유시민 이사장 감사 인사, 참배 순으로 진행됐다.
권양숙 여사와 곽상언 변호사, 유시민 이사장이 참석자들을 대표해 헌화·분향했다.
김 총리는 추도사에서 “대통령의 열망과 달리 오늘날 대한민국의 불신과 갈등은 어느 때보다 깊다”며 “바보 노무현의 삶처럼 분열과 갈등을 넘어 국민 통합과 사람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희망을 놓지 않겠다”고 말했다.
유시민 이사장은 “열두 번째 봄을 맞은 오늘까지 우리는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그리움을 내일에 대한 희망으로 키워왔다”고 말했다.
이날 각계각층에서 보낸 조화와 노란 바람개비 등이 분향소 둘레를 빼곡히 채웠다.
문재인 대통령도 조화로 추모했다. 18대 대선 후 치러진 서거 8주년 기념식에서 ‘현직 대통령으로서는 마지막 참석’이라고 밝혔었다.
개별적으로 봉하마을을 찾은 시민들은 추모식 이후부터 참배했다.
이날 행사는 노무현재단 SNS를 통해 생중계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